
완주군의회를 중심으로 한 반대측은 최근 잇딴 여론조사에서의 과반 이상의 반대 입장을 내세우며 부당성을 부각시키는 한편, 지역구 국회의원인 안호영 의원은 ‘전북형 100만 메가시티’ 구상을 공식 제안했다.
이에 반해 통합에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대통령과 국무총리에 완주·전주 통합 추진에 지원을 요청하고, 전주시는 소속 공무원에 총동원령을 내리며 완주군민 설득에 나섰다.
4일 완주군의회(의장 유의식)는 전주·완주 간 행정통합 논의와 관련해 “군민 10명 중 7명이 반대하는 만큼 통합 논의를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군의회는 이에 앞서 지난 7월 23~24일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케이저널 의뢰로 군민 1,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도 반대 65.0%, 찬성 30.7%로 반대 여론이 우세했다고 덧붙였다.
데일리리서치가 진행한 여론조사는 무선 ARS 전화조사로 진행했으며 응답률은 8.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또한 코리아정보리서치의 조사는 무선 96%, 유선 4%를 이용한 자동응답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완주군과 진안군, 무주군을 지역구로 하는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는 갈등을 풀어야 하지만, 지금은 되레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도민 갈등을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 해법으로 ‘전북형 100만 메가시티’ 구상을 공식 제시했다.
안 의원은 “공론화 없이 주민 의견도 묻지 않은 통합은 결국 도민 분열과 상처만 남길 뿐안 만큼, ‘선(先) 협력, 후(後) 통합’의 방향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전주·완주·익산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는 전북형 100만 메가시티’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통합을 밀어붙이고 있는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는 정부와 완주군민을 대상으로 통합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다.
김관영 지사는 이달 1일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완주·전주 통합 절차는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성실히 이행 중”이라며, “통합이 지역 발전의 기폭제가 되도록 행정안전부 장관이 (통합 절차에 관한) 정확한 답을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4일 김민석 국무총리를 만나 “전북의 경우 완주-전주 통합을 통해 중추도시를 육성해야 한다”며 “주민투표를 앞둔 시점에서 특례시 지정 시 비수도권 인구 기준 완화, 보통교부세 상향 지원, 통합청사 건립비 지원, 행정구 추가 설치 등 과감한 행·재정 인센티브와 정부의 전폭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여기에 전주지역 28개 민간단체 회원까지 동참하는 등 시 차원의 총동원령이 내려졌는데, 시는 이를 통해 완주군민들과 소통을 나누며 완주 군민들의 우려에 대한 해소 등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가 완주·전주 통합과 관련한 완주군에서의 주민투표를 진행할 지를 조만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여론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찬반 양측의 경쟁 또한 치열해질 전망이다.
한편, 완주·전주 통합은 지난 1997년, 2009년, 2013년에 시도됐다.
1997년의 1차에서는 주민투표에서 찬성(66%)이 높았으나 완주군의회의 반대로 무산됐고, 2009년 추진된 2차 통합 시도의 경우 행안부의 여론조사 결과 완주군민의 34.3%만이 찬성해 행정통합 주민투표 대상지역에서 제외됐다. 이어 2013년에 실시된 3차에서는 주민투표 결과 55.35%의 반대율로 부결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