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FP·연합뉴스]
애플은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미 전역의 10개 기업과의 신규 및 확대 협업이 포함되는데, 이 중 삼성전자는 오스틴 공장에서 새로운 혁신 기술을 도입해 애플의 칩을 제조한다.
애플은 6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는 미국에 1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를 할 것”이라며 “이는 향후 4년간 미국 내 총투자액을 6000억 달러로 확대하는 것으로, 애플의 미국 투자 속도를 대폭 올리는 조치”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한 가운데 백악관에서 “애플은 향후 4년간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임을 발표하고 있다”며 “이는 애플이 당초 투자하려던 것보다 1000억 달러 많은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은 앞서 지난 2월 향후 4년간 미국에 5000억 달러 이상을 지출·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추가 발표에는 애플의 공급망과 첨단 제조업을 미국으로 더욱 끌어들이기 위한 대규모 ‘미국 제조 프로그램’(AMP)이 포함됐다.
팀 쿡 애플 CEO는 “이번 계획에는 미국 전역의 10개 기업과의 신규 및 확대 협업이 포함된다”며 “삼성과 오스틴 공장에서 새로운 혁신 기술을 도입해 칩을 제조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애플은 첨단 소재·유리 제조업체 코닝과 25억 달러를 투자해 켄터키에서 아이폰·애플워치용 커버 글라스를 생산하기로 했다. 앞으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과 애플워치의 글라스는 미국에서 제조된다고 애플은 전했다.
텍사스 셔먼에서는 광전자 및 레이저 기술 기업 코히런트와 아이폰 및 아이패드의 페이스 ID 등에 사용되는 VCSEL 레이저와 첨단 웨이퍼를 만든다.
애리조나에서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와 칩을 생산하고 반도체 패키징·테스트 기업 앰코와 칩 패키징을 한다. 뉴욕 몰타에서는 웨이퍼 제조 기업 글로벌파운드리와 무선 및 전력 관리 칩을 생산한다.
반도체 장비 업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는 오스틴에서 칩 제조 장비를 생산하고, 서버 생산도 휴스턴에서 시작한다. 애플 인텔리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 확장도 노스캐롤라이나, 아이오와, 오리건 등에서 진행 중이다.
MP 머티리얼즈와는 캘리포니아에 희토류 재활용 라인 등을 구축하고, 브로드컴 등과는 미국 내 5G 통신용 셀룰러 반도체 부품 개발 및 생산을 할 예정이다.
애플은 이를 통해 미국 내 45만개의 공급망 일자리를 지원하고, 향후 2만명을 직접 고용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이날 애플의 추가 투자 소식에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5% 이상 오르며 213.2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