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주한미국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국민의힘-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오는 8일 이재명 대통령과 만나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과 2차 상법 개정안·내란특검법에 대한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독주에 대한 우려를 전달할 방침이다.
박준태 당대표 비서실장은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히며 "대통령실에서 발표한 대로 여야 대표가 함께 회동하고 이후에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회동으로 이어지는 형식"이라며 "의제는 제한을 두지 않고, (대통령과) 국정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실장은 "(8일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자연스러운 조우가 이어지게 될 것"이라며 "세 분이 함께 만나는 첫 자리니까 좋은 결과가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특검 강제 수사에 대한 항의 전달 여부에 대해 "국회 안에서 사법 체계를 뒤흔드는 민주당의 입법 독주에 대한 우려를 전하고 대통령의 입장을 물어볼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또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통과시키고 있는 많은 법안들이 대통령실과 긴밀한 조율 하에 이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라며 2차 상법 개정안과 내란특검법 등을 언급하며 "(민주당과) 대통령실 사이 약간 의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대통령께 설명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실장은 이 대통령과 장 대표의 단독 회동 시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오찬을 마친 이후에 한 30분 이상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단독으로 만나는 시간이 고정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회담이 "보여주기식 영수회담이 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민생 현안을 비롯해서 정해진 의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 허심탄회한 자리여야 한다"며 "야당 탄압을 덮기 위한 '보여주기식 회담' '들러리식 빈손 회담'이라면 그 의미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 원내지도부 관계자도 지난달 말 기자들과 만나 "정치인이 식사하는 자리도 정치적 의사가 담겨야 하고, 야당 대표라면 국민과 대통령에게 뜻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반시장, 반기업 입법 강행으로 예상되는 생산성 하락, 물가 상승, 일자리 감소 문제 등을 논의하고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국민 통합과 정치 정상화의 첫걸음은 야당을 정치 보복과 말살의 대상이 아니라 대화 파트너이자 협치 상대로 인정하는 것임을 잊지 말길 바란다"고 했다.
박준태 당대표 비서실장은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히며 "대통령실에서 발표한 대로 여야 대표가 함께 회동하고 이후에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회동으로 이어지는 형식"이라며 "의제는 제한을 두지 않고, (대통령과) 국정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실장은 "(8일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자연스러운 조우가 이어지게 될 것"이라며 "세 분이 함께 만나는 첫 자리니까 좋은 결과가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특검 강제 수사에 대한 항의 전달 여부에 대해 "국회 안에서 사법 체계를 뒤흔드는 민주당의 입법 독주에 대한 우려를 전하고 대통령의 입장을 물어볼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이 대통령과 장 대표의 단독 회동 시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오찬을 마친 이후에 한 30분 이상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단독으로 만나는 시간이 고정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회담이 "보여주기식 영수회담이 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민생 현안을 비롯해서 정해진 의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 허심탄회한 자리여야 한다"며 "야당 탄압을 덮기 위한 '보여주기식 회담' '들러리식 빈손 회담'이라면 그 의미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 원내지도부 관계자도 지난달 말 기자들과 만나 "정치인이 식사하는 자리도 정치적 의사가 담겨야 하고, 야당 대표라면 국민과 대통령에게 뜻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반시장, 반기업 입법 강행으로 예상되는 생산성 하락, 물가 상승, 일자리 감소 문제 등을 논의하고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국민 통합과 정치 정상화의 첫걸음은 야당을 정치 보복과 말살의 대상이 아니라 대화 파트너이자 협치 상대로 인정하는 것임을 잊지 말길 바란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