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획재정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한미간 통상협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미국 측에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는 14일 "현재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협의 중에 있다"며 "다만 한미 간 협의 중인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드릴 수 없다"고 밝혔다.
통화스와프는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로 필요한 만큼 돈을 교환하고 특정한 기간에 미리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를 부른다. 한미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달러화를 빌려올 수 있다. 지금까지 한미 통화스와프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코로나19 당시 한시적으로 체결됐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의 투자 요구 규모(3500억달러)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미국의 투자 요구는 한국의 외환보유액(약 4163억달러)의 83% 이상에 달하는 수준이다.
앞서 김용범 정책실장은 지난 9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우리 쪽에서는 3500억달러를 어떻게 외환 시장에서 조달해 운용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선결적으로 중요한 문제라는 걸 (미국 측에) 이해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수출입은행이나 산업은행을 통해 1년에 조달할 수 있는 금액이 200억~300억달러를 넘기가 어렵다"며 "근본적으로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에 대해 (미국 측이) 같이 도와주고 해답을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현재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협의 중에 있다"며 "다만 한미 간 협의 중인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드릴 수 없다"고 밝혔다.
통화스와프는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로 필요한 만큼 돈을 교환하고 특정한 기간에 미리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를 부른다. 한미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달러화를 빌려올 수 있다. 지금까지 한미 통화스와프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코로나19 당시 한시적으로 체결됐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의 투자 요구 규모(3500억달러)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미국의 투자 요구는 한국의 외환보유액(약 4163억달러)의 83% 이상에 달하는 수준이다.
앞서 김용범 정책실장은 지난 9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우리 쪽에서는 3500억달러를 어떻게 외환 시장에서 조달해 운용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선결적으로 중요한 문제라는 걸 (미국 측에) 이해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수출입은행이나 산업은행을 통해 1년에 조달할 수 있는 금액이 200억~300억달러를 넘기가 어렵다"며 "근본적으로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에 대해 (미국 측이) 같이 도와주고 해답을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