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온실가스 감축목표 위해 2035년 내연차 판매 제한 검토"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4일 경기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회을 주재하고 있다 2025924 사진환경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4일 경기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회을 주재하고 있다. 2025.9.24 [사진=환경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량 목표(2035 NDC)를 맞추기 위해 정부가 유럽연합(EU)과 같이 2035년 내연차 판매를 제한하는 조치를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24일 경기 광명 기아 오토랜드 사업장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을 위한 세 번째 토론회를 열었다.

환경부는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8%, 53%, 61%, 65% 감축률 등 네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감축 수단으로 도로 부문에서는 무공해차 보급 확대, 연비 개선 등을 제시했다. 특히 61%와 65% 감축안에서는 무공해차를 35% 이상 확대해야 해 유럽연합처럼 2035년 내연차 판매 제한을 검토해야 한다고 봤다.

최민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발제에서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61% 이상 감축하는 시나리오의 경우 “신차 판매 대부분이 무공해차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유럽연합(EU) 등에서 하고 있는 신차 판매에 대한 규제 같은 것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 경우 2035년 전체 등록 차량 가운데 무공해차의 등록 비중이 35%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며, 대수로는 약 1000만 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규진 아주대 지속가능도시교통연구센터 교수는 발제에서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신차 가격의 33%까지는 안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이후에 규모 경제를 통한 시장경제를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비도로 부문에서는 수소 철도를 확대해 디젤 열차를 10% 정도 대체해야 한다고 추산했다. 또 액화천연가스(LNG), 하이브리드, 혼합연료 등 친환경 선박 전환을 지원하고, 연료 효율이 우수한 최신 항공기 도입이 필요하다고 봤다.

김성환 장관은 "(전기차 신차 가격의) 최소 33%까지 국가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했는데, 지원과 의무를 어떻게 적절히 섞을지가 숙제"라며 "환경부가 기후에너지환경부로 탈바꿈할 텐데 수송 분야의 탈탄소화 전략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