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이 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9월까지 외국인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은 보증사고가 103건 발생했다. 금액으로는 243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HUG가 대위변제한 사례는 67건(160억원)이었다.
그러나 HUG가 올해 9월까지 외국인 임대인들로부터 회수한 채권은 2%(3억3000만원)에 그쳤다.
HUG에 대위변제금을 상환하지 않은 외국인 임대인 채무자는 모두 43명이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27명으로 가장 많아 미회수 채권은 약 84억5000만원 상당이었다. 이어 미국(8명, 53억1000만원), 캐나다(2명, 7억6000만원), 일본(2명, 4억6000만원), 네팔(1명, 2억6000만원), 필리핀(1명, 1억5000만원), 태국(1명, 1억2000만원) 등 순이다.
HUG는 이달 초에도 채무자 43명에게 유선 연락을 했으나 6명만 통화가 됐고, 이들조차 모두 자금 부족으로 상환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희정 의원은 “외국인 임대인의 국적, 비자 종류, 체류 기간 등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보증금 일부를 은행 등 제3기관에 예치하게 하며, 보증사고를 내고도 변제하지 않은 경우 출국을 제한하는 등 제도를 적극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