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AI 버블 없다…2026년 AI칩 매출 5000억달러 전망"

  • "AI 투자는 실체가 있는 수요 기반…세계 경제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AFP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AFP·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거품 우려를 일축하며 차세대 칩이 향후 5000억달러(약 700조원)의 매출을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GTC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우리는 이제 선순환 구조, 즉 변곡점에 도달했다"며 최신 AI 가속기 '블랙웰(Blackwell)'과 차세대 모델 '루빈(Rubin)'이 이끄는 성장세로 2026년까지 매출이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의 AI 모델들은 이미 충분히 강력하며, 사용자들은 그 서비스를 기꺼이 돈을 내고 사용하고 있다"며 "AI 투자는 실체가 있는 수요에 기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도 "나는 우리가 AI 버블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AI 모델과 서비스는 모두 실질적 가치가 있으며, 우리는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엔비디아가 워싱턴 D.C.에서 처음 개최한 콘퍼런스다. 엔비디아는 이 자리에서 우버, 팔란티어,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등과의 협력을 발표하며 자사 AI 기술이 다양한 산업 제품에 적용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양자컴퓨터와 AI 칩을 연결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공개하고, 독일 도이치텔레콤과 함께 10억 유로(약 1조6000억원)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도 발표했다.

황 CEO는 AI 인프라 구축 비용이 실제 경제효과를 앞선다는 지적에는 "AI가 세계 경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이 투자는 반드시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의 발언에 힘입어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5% 급등해 201.03달러로 마감했고, 시가총액은 4조8500억달러(약 6800조원)에 도달했다.

한편, 엔비디아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자사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한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를 지원하고, 미국 내 6세대(6G) 통신망 구축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황 CEO는 "에너지부가 엔비디아와 협력해 새로운 AI 슈퍼컴퓨터 7대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당 슈퍼컴퓨터는 양자컴퓨터 기반으로 구성돼 아르곤·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 등에 설치될 예정이다.

그는 "국가 역량을 에너지 성장 지원에 투입한 것은 완전한 게임체인저였다"며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는 이번 협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긴밀한 공조 아래 추진되고 있음을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또 핀란드 통신장비업체 노키아의 6세대(6G) 기지국에 자사 신형 무선통신 AI 컴퓨터 '아크(Arc)'를 탑재해 전력 효율성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통신망은 모든 산업의 척추"라며 "미국이 6G 통신의 중심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엔비디아는 미국 내 반도체 제조와 데이터센터 투자를 통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만들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제조업 부활' 경제 의제와의 공조를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