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지난 30일 오후 경기신용보증재단 강당에서 「2025년 경기도 공공기관 우수정책·사례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도내 공공기관이 추진한 정책 중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공기관이 추진해 온 100여개의 사업 중 서면심사와 도민심사를 거쳐 15개의 사업이 선정되었고, 이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공공기관들이 최종 발표에 참여했다.
기후행동기회소득 사업은 도민이 일상 속에서 기후행동을 실천하고, 그 실천 결과를 정량화해 경제적 가치(기회소득)로 보상하는 앱 기반의 참여형 탄소중립 실천 플랫폼이다.
2024년 7월에 시작한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4개 분야 16개 실천활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론칭한지 16개월만에 가입자 수가 165만 명(2025년 10월말 기준)을 돌파하는 등 꾸준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경기도민 10명 중 1명 이상이 참여하는 규모로, 생활 속 기후실천 문화를 정착시킨 성과로 평가받았다.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디지털 취약계층의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탄소중립 도민추진단’과 함께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해 앱 사용법을 안내하고 홍보활동을 이어온 결과, 2024년 11% 수준이던 시니어층(60대 이상) 참여율이 2025년에는 15%로 증가했다.
또한 도민 문의가 급증함에 따라 기후분야 최초 AI 챗봇 ‘기후아이’를 도입했다. 해당 서비스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내용과 경기도 기후·에너지 정책 정보를 학습하여, 반복적인 민원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도민의 문의 편의성을 높였다. 이러한 기술 혁신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이번 최우수상 수상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원장은 “이번 수상은 도민 한 분 한 분의 참여가 만들어낸 성과이자, 모두가 함께 이뤄낸 기후위기 대응의 결과”라며, “앞으로도 도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체감형 환경·에너지 정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