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반도체를 필두로 통신, 에너지, 플랜트 등을 아우르는 AI 밸류체인을 구축해 글로벌 기업들의 AI DC 수요에 발 빠르게 대처한다는 구상이다. SK그룹이 빅테크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짓고 있는 울산 AI DC가 그 첫 번째 성과다.
SK그룹은 지난달 29일 국내 취재진을 울산 미포산업단지 내 SK AI DC 울산 건설 현장에 초청해 사업 진행 상황 등에 대해 설명했다.
AI DC 울산은 SK와 AWS가 약 7조원을 투자해 AI 전용 DC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초기에는 40MW(메가와트) 규모 DC를 건립해 100MW급으로 확장한 후, 최종적으로 1GW(기가와트)급으로 AI DC를 증설하는 게 목표다.
현장에선 50여명의 작업자와 5대의 중장비가 투입되어 땅 다지기 공사가 한창이었다. 축구장 11개 크기(약 2만평) 부지에 지상 1~5층 규모로 하이퍼스케일(초대규모) DC를 건립한다. 2027년 가동을 위해 지하를 파지 않고 지상에만 건물을 올릴 정도로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APEC 일정에 맞춰 경주에 방문한 매트 가먼 AWS 최고경영자도 현장을 직접 둘러보며 공정 진행 상황을 확인했다는 후문이다.
SK AI DC는 두 가지 차별화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전력 소모가 심한 AI 특성을 고려해 처음부터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발열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 랙당 10kW 수준이었던 DC 전력 설계를 랙당 최대 105kW까지 확장했다. 기존 국내 AI DC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서버에 대량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배치해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냉각 설계도 처음부터 공랭·수랭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을 적용해 막대한 GPU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소한다. AI 서버를 냉각유에 담그는 액침냉각 대신 냉각유를 냉매로 활용하는 직접액체냉각 방식이다.
둘째는 최대 1GW에 달하는 전력을 SK그룹이 직접 공급하는 점이다. SK AI DC는 SK케미칼의 자회사인 SK멀티유틸리티가 보유한 ‘울산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 겸용 열병합 발전소’에서 직접 전력을 공급받는다. 부지를 확보하고도 전력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공사가 지체되고 있는 수도권 AI DC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울산 바닷가에 위치해 빅테크의 해저 케이블과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서울→부산을 거쳐 빅테크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타 AI DC보다 효율성이 뛰어나다.
김재석 SK브로드밴드 AI DC 기술본부장은 "먼저 건물을 짓고 고객을 구했던 과거 DC 상면 사업과 달리 AI DC는 사업 초기부터 고객과 긴밀히 소통하며 맞춤형 시설·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며 "AI DC 구축·운영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게 SK그룹의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건물을 짓고 있는 SK에코플랜트 관계자도 "기업 성장을 위한 EPC(설계·조달·시공) 사업 3대 축으로 AI 데이터센터와 SK하이닉스 팹, 친환경 에너지를 꼽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력 생산에 필요한 LNG는 근처에 있는 LNG 터미널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에서 공급받는다. KET는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에 안정적으로 LNG를 공급하기 위해 SK가스와 한국석유공사가 합작 건설한 시설로, 지난해 상업 가동을 개시했다. 장기적으로 LNG 액화→기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인근 AI DC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 향상과 원가 절감에도 기여한다는 구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