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의 반포' 꿈꿨지만…성수정비지구, 잡음 이어지며 사업 '시계 제로'

  • 대형사 '무응찰'·조합 내분 등 지속에 시공사 선정 지연

서울 성수정비지구 조감도 사진서울시
서울 성수정비지구 조감도 [사진=서울시]

서울 대표 한강변 재개발지로 꼽히는 성수전략정비구역이 잇단 잡음에 흔들리고 있다. '강북의 반포'로 불리는 등 대형 사업지로 여겨졌지만, 조합 내 갈등과 시공사 무응찰 사태가 겹치며 사실상 사업 추진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0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성수2지구의 시공사 선정 입찰이 무응찰로 종료됐다. 공사비만 약 1조8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대형 사업으로 기존에 삼성물산과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등 주요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여 입찰 경쟁이 예상됐다. 성수2지구는 서울 성동구 성수2가1동 일대에 최고 65층, 2609가구를 신축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총 공사비만 약 1조7846억원에 달하는 만큼 입찰경쟁이 예고됐다. 

지난 9월 개최한 현장설명회에도 삼성물산,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대우건설, SK에코플랜트 등 9개 건설사가 참여해 '흥행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이들 기업들이 모두 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최근엔 사업 지연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조합이 입찰보증금 1000억원 전액 현금 납부와 컨소시엄 불허, 책임준공 확약 등 시공사의 부담을 높인 영향과, 조합 내부 갈등이 겹친 탓에 대형사들이 참여를 포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조합이 경쟁입찰 원칙을 내세우며 단독입찰을 허용하지 않은 점이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으로 실제로 입찰 전부터 포스코이앤씨가 입찰 포기를 공식화하는 등 주요 대형사들이 발을 빼는 모습을 보였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고강도 조건을 내세우면 시장 불확실성에 따라 건설사 리스크만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입찰 준비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감안하면 참여할 유인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성수1지구 역시 사정이 비슷한 상황이다. 성수1지구가 서울숲과 맞닿아 우수한 입지로 알려지며 GS건설과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대형 건설사들이 경쟁 입찰을 벌일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조합이 △조합원 로열층 우선 분양 제안 금지 △대안 설계 등 추가 아이디어 제안 금지 △추가 이주비 담보인정비율(LTV) 제한 등 입찰 지침을 내세웠고, 과도한 제약이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결국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현장설명회에 불참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결국 조합은 9월로 예정됐던 시공사 선정 총회를 취소하고 지침 수정에 들어갔다. 그 사이 조합 내홍이 발생, 비상대책위원회가 조합장 해임을 주장하는 등 논란이 커지자 서울시가 실태조사에 나섰다. 이달 들어와 서울시는 조합 관련 의혹들이 모두 근거가 없다며 "혐의 없음" 결론을 내렸지만, 비대위에선 조합장 해임을 계속 추진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업 진행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성수3지구도 불안 요소를 안고 있다. 지난 8월 성동구청이 성수3지구 조합에 '설계자 선정 취소 명령 및 고발 예고' 공문을 내리면서 일정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최근 3지구 조합은 이사회 및 대의원회의의 심의·의결을 거쳐 해안건축사사무소를 설계자 선정 수의계약 우선협상자로 확정했고 12월 총회에서 공식 설계자를 결정할 예정이다. 

성수3지구 조합원 한 관계자는 " 성수지구의 여러 인근 구역들에서 시공사 선정 과정에 충돌이 발생했고, 3지구에서 이런 사례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고 본다"며 "그간 지연된 사업 일정을 만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성수전략정비구역은 한강변을 따라 위치한 핵심 입지로, 총 1만여 가구에 달하는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될 예정이었다. 교통·생활 인프라가 뛰어나 '강북의 반포'로 불리며 재개발 시장의 상징적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