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은 이번 조치에 대해 팩트시트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통해 양자 무역 관계에서 유의미한 진전을 보인 덕분”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또 백악관은 이번에 제외된 식료품 중 상당수는 미국에서 재배되지 않거나 충분한 양을 생산하기 어려운 것들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AP통신은 “높은 소비자물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라는 압력이 행정부에 가해지는 가운데 나온 드라마틱한 조치(dramatic move)”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품목 관세 철회 후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일부 사례에서는 (관세 때문에 소비자물가가 올랐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미국 공영 라디오 NPR은 전했다.
실제로 미국의 물가는 꾸준히 오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소비자물가지수(CPI) 자료를 인용, 올해 9월 기준 다진 소고기가 1년 전에 비해 13% 비싸졌으며, 스테이크 가격도 같은 기간 17%가 올랐다고 보도했다. 또 미국이 세계 주요 소고기 생산국이지만, 최근 몇 년간 육우 부족으로 인해 소고기 가격이 높게 유지됐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식료품은 여전히 높은 관세가 붙는다. 지난 7월부터 시행된 토마토 관세 17%가 붙는 멕시코산 토마토가 대표적이다. 당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멕시코산 토마토가 너무 저렴해 불공정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2기 시작일인 1월 20일부터 집권 300일인 11월 15일까지 미국 내 주요 여론조사를 모아 집계했다. 이 기간 여론조사를 평균해 날짜별로 집계했고, 찬성 비율에서 반대를 뺀 ‘순지지율’로 정권의 지지율을 계산했다. 그 결과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집권 첫날인 1월 20일 +9%에서 시작해, 50일째가 되는 3월 11일 0%를 기록했다. 집권 300일째인 15일은 반대가 더 많은 -13%다. 전임 대통령들의 집권 300일째의 순지지율은 바이든이 -8%, 오바마 1기 +11%, 조지 W 부시 1기 +77%였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트럼프 1기 300일째의 지지율은 -18%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