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트럼프-시진핑, 내년 4번 만난다" 미중 셔틀외교 복원 기대↑...대만문제는 변수

  • 베선트 "상호왕래 회담+ 美G20·中APEC 계기 회동 가능"

  • 전문가 "'트럼프 방중' 4월까지 대만문제 더욱 부각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내년 여러번의 대면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중 정상의 셔틀 외교 복원에 시동이 걸리면서 국제 정세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다만 대만 문제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스콧 베선트 장관은 25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은 베이징을 국빈 방문할 예정이며 시 주석도 미국을 국빈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신이 내년 4월 중국을 국빈 방문하고, 연중 시 주석이 국빈 자격으로 미국을 답방할 예정이라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의 전날 언급을 재확인한 것이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시 주석은 도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서도 미국에 오게 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선전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6년 G20 정상회의와 APEC 정상회의는 각각 미국 플로리다주 도랄과 중국 선전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미중 정상은 내년 중 상호 국빈 방문하는 데 더해 양국에서 각각 개최될 G20과APEC의 다자 무대에서도 대좌하게 되는 것으로, 내년 한 해 최소 4차례의 미중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질 전망이다. 미중 셔틀 외교가 8년 만에 복원되는 것이다. 트럼프 1기 첫해인 2017년에도 두 정상은 4차례 만난 바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17년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4월 트럼프 대통령 소유인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만나고, 7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독일 함부르크에서 회담한 데 이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베이징 답방, 베트남에서 열린 APEC 계기 회담 등 총 4차례 만났다고 짚었다.

하지만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상대로 본격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전쟁을 개시하면서 양국 관계는 급속히 냉각됐고, 이후 코로나19 팬데믹까지 겹치면서 셔틀 외교가 중단됐다.

셔틀 외교를 통해 양국이 지속적으로 갈등 관리를 한다면 국제 정세도 안정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베선트 장관은 "1년 동안 이런 4차례의 회담이 있다면, 양국 관계에 큰 안정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라며 "안정성은 미국 국민에게도 좋고, 세계 경제에도 좋다"고 강조했다.

다만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 이후 일본과 대립하고 있는 중국이 미국과의 대화에서도 대만 문제를 다시 꺼내 들려고 하는 점 등이 미중 간 대화무드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와 관련해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 내용을 소개한 소셜미디어 글에서 대만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 베선트 장관도 이날 "미국의 대만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언급했다.

중국 푸단대학교 미국학센터의 우신보 소장은  이에 대해 "지금부터 4월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까지 대만 문제가 더욱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미국은 대만 문제를 매우 신중하게 다뤄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