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군사 원조 중단에 물러선 젤렌스키…러시아와 휴전 협정 체결 희망
    美 군사 원조 중단에 물러선 젤렌스키…"러시아와 휴전 협정 체결 희망"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 회담이 파행된 것에 대해 후회한다며 휴전 협정을 체결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그동안 전쟁을 지원한 미국에 감사하다. 러시아가 응한다면 지상을 제외한 전선에서 휴전 협정을 체결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모든 것을 다시 올바른 방향으로 돌리고 싶다. 우크라이나에 지속 가능한 평화를 되찾고 싶다"고 덧 2025-03-05 06:33
  • 트럼프 캐나다, 미국에 보복하면 같은 금액만큼 상호관세 즉시 부과
    트럼프 "캐나다, 미국에 보복하면 같은 금액만큼 상호관세 즉시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가 추가 관세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 시 상응하는 상호 관세를 추가로 즉시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쥐스탱) 트뤼도 주지사에게 설명 좀 해달라. 그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의 상호 관세는 즉각 같은 수준만큼 인상될 것"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주지사로 지칭하며 전 세계를 상대로 다음 달 2일 부과 예정이던 상호 관세를 캐나다에 즉시 부 2025-03-05 06:15
  • [오늘의 뉴스종합] 中, 美 원목 대두 수입 중단...비관세 카드 꺼내 外
    [오늘의 뉴스종합] 中, 美 원목 대두 수입 중단...비관세 카드 꺼내 外 中, 美 원목 대두 수입 중단...비관세 카드 꺼내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10+10% 관세 인상'에 맞서 미국산 일부 품목에 한해 수입 금지 카드를 꺼냈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는 4일(현지시간) "수입된 미국 대두 가운데 맥각과 종자코팅제 대두가 검출됐다"며 "중국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수입 식량 안전 확보를 위해 공고 발표일부터 (미국) CHS사와 루이드레퓌스컴퍼니, EGT 등 3개 기업의 대두 대(對)중국 수출 자격을 정지한다"고 발표했다. 해관총서는 별 2025-03-04 21:45
  • 트럼프 젤렌스키 복장 조롱에 뿔난 우크라이나 이게 우리 품격
    트럼프 '젤렌스키 복장 조롱'에 뿔난 우크라이나 "이게 우리 품격"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의상 문제로 조롱 대상이 되자 우크라이나 외무부가 반격에 나섰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선의 장병들에 대한 연대의 의미로 군복을 입어 왔지만 지난달 28일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와 악수하며 "오늘 잘 차려 입었네"라고 비꼬듯이 발언했다. 3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지난 2일 공식 인스타그램에 12장의 사진을 게시했다. 사진에는 '우크라이나인에게는 2025-03-04 21:36
  • ​​​​​​​美 우크라 무기 지원 중단에...러시아 환영
    ​​​​​​​美 우크라 무기 지원 중단에...러시아 "환영" 러시아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중단하는 것이 평화를 위한 최고의 기여가 될 것이라며 크게 환영했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자가 되기를 중단하거나 이러한 공급을 중단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평화에 대한 최고의 기여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지원 중단의 세부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면서도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실제로 키이우 정권을 평화 프로세스로 밀 2025-03-04 20:02
  • 中 최대 정치행사 양회 개막...경기부양책 관전 포인트 
    中 최대 정치행사 '양회' 개막...경기부양책 관전 포인트  중국에서 매년 3월 초 일주일가량 열리는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4일 시작됐다. 중국 국정자문기구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는 이날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식과 제1차 전체회의를 열었다. 5일 오전 개막하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는 첫 순서로 이번 양회의 하이라이트라 할 리창 국무원 총리의 정부공작보고(업무보고)를 청취한다. 정부공작보고에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국방비·물가 등 목표치와 당국이 역점을 둔 발 2025-03-04 19:28
  • 이란 찾은 러시아 미사일 전문가…軍기술 흘러갔나
    이란 찾은 러시아 미사일 전문가…軍기술 흘러갔나 지난해 이스라엘과 이란의 서로간 공습이 이어졌던 시기에 러시아 미사일 전문가들이 이란을 방문했다고 로이터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러시아의 미사일을 비롯한 군 기술이 이란으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로이터에 따르면 7명의 러시아 미사일 전문가들은 작년 4월 24일과 9월 17일 두 차례에 걸쳐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으로 가는 항공편을 예약했다. 이 시기는 오랜 숙적인 이란과 이스라엘이 군사적 충돌을 빚은 시기다. 지난해 4월 이스라엘이 시리아 다마스쿠 2025-03-04 18:04
  • 필리핀 도입 한국산 FA-50 전투기 1대, 작전 중 실종
    필리핀 도입 한국산 FA-50 전투기 1대, 작전 중 실종 필리핀 공군의 한국산 FA-50 전투기 1대가 작전 도중 실종된 것으로 전해졌다. 4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필리핀 남부에서 전날 밤 조종사 2명을 태운 FA-50 1대가 공산주의 반군과 싸우는 지상 병력을 지원하는 야간 작전 중 사라졌다. 필리핀 공군 대변인인 마리아 콘수엘로 카스티요 대령은 “조종사 2명을 태운 FA-50이 세부의 막탄 공군 기지에 착륙할 예정이었지만 목표 지역 도착 몇 분 전에 통신이 끊겼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여전히 항공기와 승무원을 회수할 수 있기를 2025-03-04 15:55
  • 트럼프 우크라와 광물협정 다시 나설 것…4일 밤 새로운 소식
    트럼프 "우크라와 광물협정 다시 나설 것…4일 밤 새로운 소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이 파행을 빚었음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와 광물협정 체결에 다시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대만 TSMC의 대미 반도체 투자 발표회에서 ‘양국의 광물협정이 끝났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종전 협상에 깐깐한 태도를 계속해서 보이면, 젤렌스키 대통령이 대통령직에서 사임 2025-03-04 15:46
  • 가자지구 다시 긴장 고조…이스라엘 공습에 2명 사망
    가자지구 다시 긴장 고조…"이스라엘 공습에 2명 사망"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1단계 휴전이 만료된 후 가자지구에서 공습으로 2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남단 라파에서 이스라엘군의 드론 공격으로 2명이 숨졌다.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남부에서 군부대에 접근하는 2명에게 발포했고 칸유니스 해안에서도 보안 규칙을 위반한 모터보트에 총격을 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스라엘 북부 해안 도시 하이파의 버스터미널 앞에서는 칼부림 사건이 발생해 1명이 사망 2025-03-04 10:51
  • 트럼프, 중국 관세 10% 추가 부과 확정…20%로 인상
    트럼프, 중국 관세 10% 추가 부과 확정…"20%로 인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최종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중국 추가 관세에 대한 행정 서명을 했다. 백악관은 "펜타닐은 현재 18~45세 미국인의 사망 원인 1위다. 그 원료는 중국에서 만들어진다"며 "중국 공산당은 펜타닐을 제조하고 수출하는 기업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20%로 올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 2025-03-04 07:02
  • [속보] 트럼프, 4일부터 中에 10% 추가 관세 부과 서명
    [속보] 트럼프, 4일부터 '中에 10% 추가 관세 부과' 서명 트럼프, 4일부터 '中에 10% 추가 관세 부과' 서명 2025-03-04 06:37
  • 日, 워킹홀리데이 비자 재취득 8개국에 허용…한국도 추가될 듯
    日, 워킹홀리데이 비자 재취득 8개국에 허용…한국도 추가될 듯 일본 정부가 장기 체류하면서 취업이 가능토록 하는 워킹홀리데이 비자 재취득을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2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영국, 캐나다 등과 함께 한국도 이들 국가에 포함될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재취득이 허용된 국가는 총 8개국이다.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덴마크, 호주, 독일, 아일랜드, 슬로바키아의 젊은이들이 대상이다. 이와 더불어 올해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은 한국도 워킹홀리데이 비자 재취득 허용 대상 국가에 추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2025-03-03 13:44
  • 트럼프-푸틴 밀착…美 러시아 사이버 작전 중지
    트럼프-푸틴 밀착…美 "러시아 사이버 작전 중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자마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밀착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그간 러시아를 겨냥했던 미국의 사이버 작전도 중단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2일 워싱턴포스트(WP) 보도에 따르면,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러시아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정보 작전을 중단할 것을 사이버사령부에 명령했다. 특히 러시아의 네트워크에서 멀웨어(악성 소프트웨어)를 찾아내 미국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무력화하거나 공격 준비를 하 2025-03-02 14:27
  • 백악관 회담 파국에 미소 짓는 크렘린…푸틴, 젤렌스키의 굴욕에 만족
    백악관 회담 파국에 미소 짓는 크렘린…푸틴, 젤렌스키의 '굴욕'에 만족 미국과 우크라이나 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나면서 러시아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공식적인 반응을 자제하고 있지만, 측근들은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의 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1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젤렌스키 대통령을 '광대'로 표현하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백악관 회담을 "가차 없는 질책"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2025-03-02 09:56
  • WSJ 中, 자국 AI 기업인·전문가에게 美 여행 피하라고 지시
    WSJ "中, 자국 AI 기업인·전문가에게 美 여행 피하라고 지시" 중국 당국이 자국의 인공지능(AI) 관련 기업인과 연구자에게 미국 등 서방 국가 여행을 피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일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AI 전문가들이 기밀 정보를 유출하거나 미국의 요청으로 지난 2018년 캐나다에서 체포됐던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처럼 외국에서 구금돼 양국 간 협상카드로 이용될 가능성을 우려해 이같이 조처했다.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한 이번 보도를 보면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당국이 대놓고 AI 전문가들의 서방국 여행을 금지한 2025-03-01 20:29
  • 굳은 표정으로 백악관 떠난 젤렌스키 美에 감사…우크라이나 항구적 평화 필요
    굳은 표정으로 백악관 떠난 젤렌스키 "美에 감사…우크라이나 항구적 평화 필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종전 협상을 위한 정상회담에서 설전을 벌인 채 소득 없이 끝마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심경을 내비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정의로우며 항구적인 평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정확히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국의 지원에 감사하다"며 "미국 대통령과 의회, 그리고 미국 국민 여러분께 고마움을 표한다&quo 2025-03-01 06:43
  • 트럼프에게 공개 면박 젤렌스키 향한 유럽 정상 지지…우크라 혼자 아냐
    '트럼프에게 공개 면박' 젤렌스키 향한 유럽 정상 지지…"우크라 혼자 아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종전 협상에서 공개 면박을 당한 가운데 유럽 각국 정상들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향한 지지의 뜻을 내비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이날 정상회담은 서로 충돌한 끝에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과거 서명을 어긴 전례를 언급하며 안전보장 조치를 지속 요구하자 "무례하다.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지 2025-03-01 0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