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5만원권 유통 개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6-23 17: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국내 화폐 중 최고액권인 5만원권 유통이 시작됐다.

23일 한국은행은 이날 오전 6시부터 금융기관 본점과 결제모점(한은과 입출금 거래하는 지점)에 5만원권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지난 1973년 6월 1만원권 발행 이후 36년 만에 발행되는 고액권이다.

각 금융기관들도 오전 9시 점포 문을 열면서 고객들에게 5만원권 공급을 시작했다. 한은도 발권국과 지역본부에서 1인당 20장(100만원) 한도로 5만원권 교환을 실시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의 5만원권 인출수요는 서울지역 5620억원을 포함해 총 1조6462억원으로 잠정 파악했다.

한은은 이달말까지 총 2조원(4000만장) 안팎의 5만원권 인출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고 고액권 공급을 충분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만원권 빠른 번호(AA*******A) 100만장 가운데 1∼100번 100장은 한은 화폐금융박물관에 전시한다.
 
101∼20,000번 1만9900장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경매를 실시한다. 한국조폐공사는 경매 일정과 방법 등을 7월 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20,001∼1,000,000번 98만장은 시중은행, 특수은행(산업·수출입은행 제외), 지방은행 본점, 우정사업본부에 무작위로 공급한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한국은행 본점에서 열린 '5만원권 발행개시 행사'에 참석해 5만원권을 들어보이고 있다.
한은은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액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폐종류 확인카드' 1만개를 제작해 180여개의 시각장애인 유관기관·단체에 배포할 방침이다.

또 위폐 방지를 위해 '지폐 위조방지장치 확인카드' 4만개를 제작해 금융기관, 유통업체 등에 제공한다. 이 확인카드에는 돋보기와 숨은 숫자 확인창 등이 있어 위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각 금융기관들은 올해 안으로 5만원권 입출금이 가능한 현금취급기를 점포당 1대씩 운영할 계획이다.
한은 관계자는 "대부분의 은행이 6월이나 7월부터 현금취급기의 교체를 시작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8시30분 서울 소공동 한국은행 본관 지하1층 현송장에서 열린 5만원권 발행 개시식이 열렸다.

개시식에 참석한 이성태 한은총재는 "1973년 1만원권 발행 이후 1인당 국민소득이 110배 이상 커졌고 정액 자기앞수표가 고액권 대신 널리 사용되면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들었다"며 "이에 따라 36년 만에 새 고액권인 5만원권이 발행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날 개시식에는 이 총재와 김대식 금융통화위원, 이주열 부총재, 강태혁 감사, 이광준 부총재보, 이내황 발권국장 등이 참석했다.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