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KOTRA)가 세계 주요국 통계를 분석해 9일 내놓은 나라별 FDI 유치동향 자료에 따르면 일본, 대만 등 대다수 국가들이 2분기 들어서도 부진한 FDI 유치실적을 보였다.
일본은 4월 FDI 유치실적이 2천588억엔으로 작년 동기보다 69.8% 급감했고, 대만(4억3천700만달러)과 베트남(3억1천200만달러)도 각각 56.8%, 84.9% 감소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4월 FDI 유치실적은 작년 동기보다 71.3% 늘어난 9억1천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 5월과 6월에도 FDI가 큰 폭으로 늘어 2분기 전체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62.0% 증가한 29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올 1분기에는 우리나라의 FDI 유치실적이 큰 폭으로 줄었지만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양호한 편이었다.
1분기 우리나라의 FDI 유치실적은 16억7천700만 달러로 감소폭이 38.2%였다.
그러나 이 기간에 캐나다가 76.9% 급감한 것을 비롯해 프랑스(-67.2%), 독일(-66.4%), 일본(-65.1%) 및 미국(-40.7%)은 감소폭이 더 컸다.
'세계 FDI의 블랙홀'로 불리는 중국은 1분기에 217억7천700만 달러의 외자를 유치해 감소율이 20.6%로 우리나라보다 양호했다.
코트라의 정동수 인베스트 코리아 단장은 "2분기 들어 국내 FDI가 급증한 것은 엔고에 따른 일본자금의 유입 영향도 있지만 우리나라 경제를 외국인들이 신뢰하고 있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표> 주요국 외국인 직접투자금액
국가(화폐단위) | 2008 | 2009.1/4 |
영국(백만 파운드) | 52,408 (△46.6%) |
34,190 (38.7%) |
캐나다(백만 C$) | 61,170 (△55.5%) |
4,085 (△76.9%) |
프랑스(백만 유로) | 86,106 (△25.4%) |
6,310 (△67.2%) |
독일(백만 유로) | 17,026 (△58.7%) |
1,959 (△66.4%) |
일본(억¥) | 69,692 (△12.9%) |
9,282 (△65.1%) |
미국(백만 US$) | 319,736 (15.9%) |
35,275 (△40.7%) |
중국(백만 US$) | 92,395 (23.6%) |
21,777 (△20.6%) |
덴마크(십억 크로네) | 52 (△0.4%) |
20.5 (14.5%) |
인도(천만 루피) | 122,919 (24.6%) |
30,593 (△35.5%) |
인도네시아(백만 US$) | 14,871 (43.8%) |
1,971 (105.9%) |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