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시카고의 2016년 하계올림픽 유치 실패로 인해 미 언론의 맹공격을 받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총회가 열린 덴마크로 달려가 직접 유치홍보에 나섰으나 시카고 올림픽 유치에 실패함에 따라 정치적인 타격을 입게 됐다고 미 언론은 분석했다.
정치생명을 건 건강보험 개혁법안 처리를 앞둔 중대한 순간에 '대통령이 도대체 무엇을 생각했나"는 것이다.
정치전문매체인 폴리티코는 3일(현지시간) '오바마의 패배의 쓰라림'이라는 기사에서 "시카고가 1차 투표에서 94표 가운데 18표밖에 얻지 못하고 떨어진 것은 오바마 대통령의 코펜하겐 방문을 완전히 무의미하게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존 호버만 텍사스대 교수는 "오바마와 그의 참모들이 대선 이후 영리하지 못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그는 이어 "오바마 대통령이 시카고 시장의 말만 믿고 코펜하겐까지 날아가 시카고 올림픽 유치 지원에 나선 것은 '순진한 결정'이었다"고 혹평했다.
의회 전문지인 '더 힐'도 "건강보험 개혁안 처리에 전력하고 있는 시기에 오바마 대통령이 지지한 시카고 올림픽 유치 실패는 백악관의 정치적인 입지를 약화시켰다"고 분석했다.
또 더 힐은 "이번 코펜하겐 방문은 공화당과 일부 민주당 인사들에게 손쉬운 비판거리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오바마 대통령이 코펜하겐으로 날아갈 때 생각한 게 무엇이냐"라는 비판적인 사설을 통해 이번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다음번에는 주사위를 굴릴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반드시 보고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오바마 대통령이 콜린 파월의 독트린인 '압도적 무력'을 사용해 올림픽을 유치하려던 시도가 실패로 끝났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에 대한 혐오감을 가진 IOC위원들이 자신들의 이익 대신 오바마 대통령의 개인적인 인기나 매력 때문에 시카고에 표를 몰아줄 것으로 백악관이 판단했다면 순진한 생각이었다고 지적했다.
아주경제= 신기림 기자 kirimi99@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