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특판예금으로 부동자금 20조원 흡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2-02 10: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은행들이 올 들어 특판 예금을 통해 20조원 규모의 부동자금을 흡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부동산 및 증시가 주춤한 데다 경기회복 여부도 아직 불투명해, 투자처를 잃은 자금들이 안전자산인 은행 예금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하나·기업·외환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1월 말 현재 316조7742억원으로 전월 대비 19조8218억원(6.7%) 급증했다.

이는 지난해 월평균 증가액인 2조6517억원의 7.5배 수준.

6개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2008년 말 265조1321억원에서 꾸준히 증가하면서 지난해 10월 말 300조원을 넘어섰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80조4662억원으로 8조217억원(11.1%) 증가하면서 2008년 1월 월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은 81조6037억원으로 2조2708억원(2.9%) 늘었고, 신한은행은 70조6307억원으로 2조6724억원(3.9%) 증가했다.

외환은행은 20조5352억원으로 2조3483억원(12.9%) 확대됐으며 하나은행은 4조2771억원(8.6%) 증가한 53조9천184억원을 기록했다.

이처럼 은행 정기예금이 크게 증가한 것은 은행들이 고금리 특판 행사를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나은행이 지난달 4일부터 판매 중인 '투게더 정기예금'은 지난달 22일 현재 1조5000억원이 팔렸다.

우리은행이 지난달 11일 내놓은 '111정기예금'도 같은 달 29일까지 1조2146억원가량 판매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연초를 맞아 연 4~5%의 고금리 상품을 내놓자 투자자들이 주식이나 펀드보다 안전한 예금으로 움직인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증시와 부동산 시장 등에서 발을 뺀 부동자금이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은행 예금으로 몰린 것도 이유다.

한편 6개 은행의 단기 요구불예금은 지난달 말 현재 180조63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5조7322억원(3.1%) 감소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객들이 금리 인상에 대비해 자금을 단기로 굴리다 금리 인상 시기가 다소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자 특판 예금으로 몰린 것으로 파악된다"며 "최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정자산 선호 현상도 두드러져 정기예금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