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여야 원내대표는 3일 법사위에서 관련 법안을 처리하고 본회의를 열어 처리하는 절충안을 내놨으나, 여야가 워낙 첨예하게 맞서고 있어 본회의 처리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나라당은 2일 한미 FTA 비준동의안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 소회의장에서 기습 상정했다. 소회의실에서 외교통상부의 내년도 예산안을 상정, 심의한 것까지는 문제가 없었으나, 직후 남경필 위원장이 구두(口頭)로 FTA 비준안 상정했다.
이에 최규성 등 야당 의원들은 남 위원장의 자리로 몰려와 의사진행을 막았고 “정 하고 싶으면 날치기하라”, “산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 위원장은 의사진행이 불가능하자 여당 간사인 유기준 의원에게 토론 의사권을 넘겼고, 토론이 시작됐지만 야당은 토론에 응하지 않은 채 남 위원장을 둘러싸고 의사진행을 막았다.
이후 한나라당의 16명의 외통위원들이 회의장에 집결해 단독 의결정족수를 채우자, 민주당은 소속 의원 전원에게 집결 통보를 내리는 등 물리적 대응을 예고해 긴장감은 더욱 고조됐다.
상황이 악화되자 한나라당 황우여·민주당 김진표 원대대표는 긴급 회동을 갖고, 3일 법사위를 열어 모든 관련 법안을 처리하고 본회의에서 처리키로 하는 내용의 절충안을 내놨다. 기습처리에 따른 물리적 충돌이란 최악의 상황부터 막자는 것이다.
하지만 비준안 본회의 상정을 두고 야당 의원들이 워낙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어 처리 여부는 미지수다. 현재로선 여당의 본회의 기습처리나 박희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밖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