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정신병원, 주민 정신질환 관리 강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18 13: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주로 중증 정신질환자를 입원 치료했던 국립정신병원이 청소년 인터넷 중독, 학교폭력 상담,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심리 검사 등의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의 국립정신병원 기능개편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기존 5개 국립정신병원은 ‘정신건강증진 거점기관’으로써 각 지역에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립서울병원은 국립정신건강연구원으로 전환되며 개별적으로 운영됐던 5개 국립정신병원을 통합 관리한다.

5개 병원은 각각 서울·경기권(서울병원), 충남·충북권(공주병원), 전남권(나주병원), 강원권(춘천병원), 경남·북권(부곡병원)을 담당한다.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도 다양하게 제공된다.

각 병원은 학교폭력 가·피해자 치료센터,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료센터, 장기 입원치료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학교 등을 두고 청소년 맞춤형 상담·치료에 나선다.

서울병원에서만 가능했던 자폐증 등 발달장애인 치료·재활 서비스도 4개 권역별 기관으로 확대된다.

일반 기업이나 공공기관 근무자의 ‘정신건강 관리자’ 역할도 5개 거점기관이 수행하며 근로자들은 피로도, 심리 검사와 함께 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에 따른 개별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군인이나 소방대원 등의 경우 관련 부처를 통해 수요를 파악한 뒤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복장애인 병상, 감염성 질환 병상 제공 등의 서비스도 새로 준비한다.

5개 병원의 총 3000여 병상을 오는 2014년까지 3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축소해 각종 치료 센터나 직업재활시설로 전환할 방침이다.

병상 축소로 발생하는 130여명의 정신건강전문 간호사는 업무전환을 통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복지부는 오는 9월말까지 각 병원별 기능 개편 방안을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