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나이 되돌리는 방법 찾았다

강태홍 동아대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자외선과 흡연으로 손상된 DNA를 회복시켜 피부노화를 예방하는 방법이 밝혀졌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강태홍 동아대 교수가 손상된 DNA를 잘라내고 건강한 DNA를 붙여 회복하는 세포 내 시스템인 ‘NER(뉴클레오티드-절삭 회복)’을 활성화해 피부노화를 늦추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NER은 DNA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유일한 세포 시스템으로 이곳에 이상이 생기면 손상된 DNA가 쌓여 궁극적으로는 노화와 암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특정 효소를 이용하면 DNA의 손상을 인지하는 핵심 단백질인 ‘XPA’의 안정성을 조절하면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인 ‘HERC2’와 단백질에 인산화 효소인 ‘ATR’을 조절해 전체적인 NER 회복 속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강 교수는 “NER 활성을 자유자재로 제어하고 피부노화와 피부암을 효과적으로 예방·치료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