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해양플랜트용 후판 6만톤 북해 시장 진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24 15: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덴마크 DONG Energy, 영하 50도 보증 후판 등 4개 프로젝트 총 6만t 수주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동국제강이 해양플랜트용 후판 시장에서 가장 까다롭다는 북해 유전개발용 플랜트 생산용 후판 수주에 성공하는 등 공급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동국제강은 덴마크 국영 석유회사인 동 에너지(DONG Energy) 등이 발주한 4개 글로벌 유전개발 프로젝트에 쓰일 해양플랜트용 후판 총 6만t을 수주하고, 8월 말까지 공급 완료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동국제강은 올해 7월 현재까지 동 에너지의 북해 플랫폼 상부구조물(Top sides)용 후판을 포함해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Petronas)의 태평양 부유식 천연가스 저장·생산·하역설비(LNG-FPSO) 상부구조물과 선체(Hull)용 후판, 일본 인펙스(INPEX), 프랑스 토탈(Total)의 호주 북서부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선체용 후판, 미국 쉐브론(Chevron)의 호주 북서부 플랫폼 선체용 후판 등 4개 프로젝트에서 총 6만t의 해양플랜트용 후판을 수주했다.

특히 동 에너지에서 수주한 후판(Norsok Y20, Y30 규격 제품)은 혹독한 북해 해양 환경에서 원유 등을 처리하는 플랫폼에 사용되는 등 세계적으로 극소수의 철강사만이 공급 가능하다.

해양플랜트용 후판 규격 중 가장 엄격한 Norsok(노르웨이 표준해양규정) 규격에 따라 일반 후판보다 강도가 40% 이상 강하면서도 탁월한 용접성을 보이고, 영하 50도 이하 극한의 북해에서도 견뎌낼 수 있는 제품이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동 에너지의 플랫폼용 후판 수주를 계기로 최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 ‘북해’ 유전개발 플랫폼용 후판 시장까지 성공적으로 진출하게 됐다”며, “북해 유전 개발 프로젝트에 투입될 해양구조물용 후판의 수주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국제강은 해양플랜트용 후판을 통해 글로벌 고급 후판 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후발 주자와 차별화를 가속한다는 전략이다.

해양플랜트용 후판 시장 규모는 상선용 후판 시장의 10분의 1 수준이지만 최근 40% 이상 성장하며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해양플랜트용 후판은 제품의 절대적인 품질과 기술력을 보증하면서도 이와는 별도로 글로벌 에너지 기업의 공급사로 각각 등록해야 하는 등 후판 제조사의 종합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