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농업기술원(원장 김정곤)에서는 시 · 군 자치단체에서 분석을 의뢰한 학교급식용 쌀의 유해성분인 납(Pb), 카드뮴(Cd) 성분을 분석한 결과 카드뮴은 검출 되지 않았으며 납은 0.005 ppm으로 쌀의 기준치(식품의약품안전청) 0.2 ppm이하로 분석되어 성장기 학생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농산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남
앞으로 무상급식확대 등에 의해서 학교급식용으로 공급되는 농산물은 쌀 뿐만 아니라 채소, 과일 등 많은 농산물이 필요 할 것으로 예상되어 지는데, 안전하고 우수한 농산물이 학교 급식용으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친환경 안전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야 한다.
못한 농산물로 만들어진 학교급식은 한 순간에 많은 학생의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점검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안전성 검사 수요 또한 증가 할 것으로 예상 된다.
농업기술원은 농산물의 안전성 분석 수요에 대비한 시스템을 갖추어 안전하고 우수한 농산물이 학교 급식용으로 공급되어 지도록 분석을 강화하고 벼, 오이, 고추, 토마토 등이 품질 좋고 안전하게 생산되어 질 수 있는 토양 및 농업용수 관리 기준을 마련하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