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학살당한 사람들은 어린이와 여성을 포함한 마을 주민 642명으로 프랑스 레지스탕스들이 독일 병사를 생포한 것에 대한 보복 차원에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2차세계대전 당시 유럽 각국에서 유태인을 포함한 무고한 양민들을 상대로 나치가 벌였던 던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수사와 처벌은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도 멈추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전쟁 중이라 하더라도 인권을 무시하고 행해진 범죄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통해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음으로써 후세에 교훈을 남기고 과거청산을 발판으로 더 밝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인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주변국 침략 과정에서 잔인한 방법으로 양민들을 학살하는가 하면 고유의 문화를 없애는 만행까지 저질저질렀지만 전혀 반성하는 기색없이 강점기 때 잠깐 빼앗았던 섬을 자신의 영토라 우기는 것은 물론, 한반도 근대화가 자신의 침략 덕분이었다며 전범의 위패를 갖다 놓은 신사에 가서 참배까지 하는 지경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이 일본인들 뿐만이 아니다. 한국의 일부 학자와 정치인, 일반인들까지도 일본의 입장을 두둔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를 바라보는 해외 동포들의 마음은 안타깝기만 하다.
미주 지역에 살고 있는 한인들 중에서도 ‘언제까지 과거사에 매달리기만 할 것이냐’ ‘과거의 일일랑은 잊고 미래만을 생각하며 살아야 하지 않겠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인 동포들은 작금의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역사인식에 대한 혼란스런 모습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의 ‘평화의 소녀상’과 뉴욕주의 ‘위안부 결의안 기림비’ 등을 세우고 조국의 아픔을 되새기며 다시는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나지않길 기원하고 있는데, 정작 한국에서는 이와 관련한 역사 교과서 내용이 우왕좌왕하고 있으니 통탄할 일이라는 것이다.
일본 정부와 기업들이 나서 평화의 소녀상과 기림비를 없애달라고 , 그리고 동해를 일본해와 같이 병기하게 해달라는 한인사회의 움직임을 막아 달라고 열심히 뛰어다니고 있다.
일본은 자신들이 저지른 과거의 잘못을 덮으려고 정부는 물론 민간단체와 개인까지 나서서 전세계 곳곳에서 흔적을 지우고 있는데, 과연 한국은 그리고 한인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지난 2007년 미 연방의회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정부과 군이 종군위안부를 만들어 인권을 유린했던 것에 대해 사과를 요구하는 ‘위안부 결의안’이 채택됐다.
이때 결의안이 의회에서 채택될 수 있기까지 결정적인 역할 했던 인물이 바로 마이크 혼다 연방하원의원이다.
혼다 의원은 자신의 몸 속에 일본인의 피가 흐르고 있지만 정의를 되찾고 역사를 바로 세우는데 있어서만큼은 모두가 뜻을 같이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난 24일 뉴욕주에서 위안부 결의안 기림비 제막식이 열렸다. 이 기림비는 지난 해 1월과 5월 뉴욕주 상원과 하원에서 각각 통과된 위안부 결의안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뉴욕주 상하원 의원들은 ‘과거의 잘못으로부터 배우지 못하면 같은 과오를 되풀이한다’면서 ‘위안부의 아픈 과거를 참을 없고, 위;안부의 비극을 잊지 않는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각종 이슈로 한국과 일본이 외교적인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올바른 역사적 관점에서 중심을 잡고 후세에 부끄럽지 않도록 냉정하게 대처해 나가는 자세가 절실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