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여풍의 반란’ 주인공…김한길·안철수 견제론 주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5-08 18: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신임 원내대표. [출처=박영선 페이스북]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3선·구로을) 의원이 차기 원내사령탑에 오르면서 ‘여풍 시대’를 예고했다.

박 의원은 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3기 원내대표 선출 경선에서 결선투표 끝에 친노(친노무현)그룹의 노영민(청주 흥덕을) 의원을 꺾고 원내대표로 선출됐다. 박 의원은 결선투표에서 69표를 획득했다. 노 의원은 59표에 그쳤다.
·
앞서 박 의원은 1차 투표에서 총 선거인단수 130명 중 128명이 참석한 가운데 52표를 획득하며 1위에 올랐으나 과반에는 실패, 28표를 얻은 노 의원과 결선투표를 실시했다.

정세균계인 최재성(남양주갑) 의원과 신주류인 이종걸(안양 만안) 의원은 27표와 21표를 각각 얻었다.

경남 창녕 출신으로 3선 의원인 박 신임 원내대표는 MBC 기자를 거쳐 2004년 제17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로 정치에 입문한 뒤 18, 19대 총선에서 내리 당선됐다.

2011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과 후보단일화를 놓고 경쟁한 박 원내대표는 이듬해 19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에 이름을 올렸다. 여성 최초이자 비법조인 출신의 위원장 시대를 연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박영선 카드를 선택한 것은 무엇보다 강한 야성에 대한 갈망이 표출됐다는 게 당내 분석이다.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기초선거 무공천과 기초연금 제정법 수용, 6·4 지방선거 전략공천 논란 등에서 리더십 부재에 시달리자 강한 야성을 바탕으로 한 박 원내대표가 부각됐다는 얘기다.

‘박영선 카드’에는 내부 결속과 범야권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전략적 판단이 깔린 셈이다. 이에 따라 당 내부에서 두 공동대표의 견제론이 힘을 받을지도 주목할 대목이다.

실제 전병헌 원내대표 시절 당시 민주당은 국가정보원(국정원) 등 국가기관 대선 개입, 2007년 남북정상회담 NLL(서해북방한계선) 포기 발언 의혹 등에서 대여투쟁을 전개하면서도 실익을 얻지 못해 당 안팎의 비난이 쇄도했다.

또한 지난해 예산안 처리를 위한 연말 국회 당시 국정원 개혁안과 외국인투자촉진법 등 쟁점법안에 골몰해 예산안도, 국정원 개혁안도 실기하는 악수를 거듭했다. 당내 초재선 강경파 그룹인 ‘더좋은미래’가 전 원내대표의 사퇴를 촉구한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이 때문에 강경파 중심의 초재선 그룹과 일부 486인사들이 박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단결했고, 여기에 박지원 의원 등의 표까지 가세하면서 박 원내대표의 승리로 이어졌다.

일각에선 박 원내대표가 두 공동대표의 신주류 측과 교감을 나눴다는 주장도 제기, ‘박영선 원내사령탑’ 출범에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당선 소감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제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많은 과제들을 의원님 한분 한분과 상의하고 경청하고 의논해서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세월호 참사를 언급하며 “대한민국이 울고 있다. 이제 새정치연합이 새로운 변화, 그리고 새로운 에너지를 만들 때”라며 “그 새로운 변화 에너지의 주인공이 바로 이 자리에 계신 의원 여러분”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제가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부족함을 의원 여러분들께서 채워주시리라 믿는다”며 “부족함을 함께 메워주는, 그래서 우리가 하나가 되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6·4 지방선거는 우리 앞에 놓인 과제”라며 “(지방선거를 계기로) 올바른 대한민국, 새로운 야당, 존재감 있는 야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원내대표는 정견발표에서도 “(세월호 참사 등 국정문란을) 책임지지 않는 박근혜 대통령에 맞서는 당당한 야당을 할 것”이라고 대대적인 대여 공세를 예고했다.

다만 강성인 ‘박영선 원내사령탑’의 등장으로 당분간 여야 관계가 경색될 것으로 보여 통합과 상생의 리더십은 박 원내대표의 과제로 남게 됐다.

이와 관련,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박 원내대표의 등장으로) 새정치연합이 그간의 애매모호함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지방선거에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