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당은 “검찰은 당초 선관위 고발 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권 시장과의 연결고리가 나타나지 않자 불법적인 수사(압수수색)를 통해 대전미래경제연구포럼으로 수사를 급전환했다”며 이는 “결국 권 시장을 표적으로 정해놓고 수사과정을 짜 맞추다 보니 대한민국 정치인 대부분이 관여하고 있는 포럼을 의도적으로 문제 삼았고, 이를 통해 권 시장에게 사전 선거운동 혐의를 덧씌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권 시장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형평성을 잃은 표적수사라는 것은 여당 소속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인 유정복 인천시장이 인천시 부채규모에 대한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에도 불구하고 소환조차 되지 않은 채 무혐의 처분된 사례에서 명백히 드러났다”며 “이처럼 검찰은 불법적인 수사와 형평성 잃은 표적수사를 통해 스스로 야당탄압의 도구로 전락했다”고 비난의 강도를 높였다.
대전시당은 마지막으로 “이제 시시비비는 법정에서 가려질 것이다. 검찰의 무리한 구속영장 청구에 경종을 울렸던 법원이 현명한 판단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대전시당도 3일 논평을 내고 “ 대부분 시민들의 예상대로 권선택 대전시장이 선거법 위반으로 오늘 불구속 기소됐다”면서 “이를 지켜보는 대전시민의 입장에서 착잡한 심정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대전시당은 “무엇보다도 우려스러운 것은 행정 공백이다. 앞으로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과연 대전시정이 제대로 돌아갈 지 심히 걱정스럽다. 더군다나 도시철도 2호선, 과학벨트 조성 등 대형 시책사업이 산적해 있어 더더욱 그렇다”며 유감을 나타냈다.
이어 “그동안 우리는 권 시장이 진정 대전을 사랑한다면 ‘결자해지’ 차원에서 용단을 내려 사태를 조기 수습하고, 시정을 안정시켜주기를 촉구하고 기대했다. 그러나 결국 사법부의 잣대를 선택한 점에 대해 유감스러울 따름”이라며 덧붙였다.
또 “공은 법원으로 넘어갔다. 이제 조용히 법의 엄정하고 준엄한 심판을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됐다. 다만 ‘대전을 위해서’ 가능한 빠른 시일 내 매듭지어지기를 기대할 뿐”이라고 논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