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2분기 중 자금순환' 자료를 보면 올 2분기(4∼6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금잉여 규모는 24조9000억원으로 1분기(1∼3월)의 29조6000억원에 비해 4조7000억원 줄었다.
자금잉여는 예금이나 보험, 주식투자 등으로 굴린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것으로, 통상 가계 부문의 자금운용액은 자금조달액보다 크다.
2분기 가계의 자금잉여 감소는 주택거래 활성화로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난 데 기인했다.
가계 빚이 늘면서 여유 자금이 줄어든 것이다.
가계 소득은 줄었는데 가계가 예금이나 보험 등 금융상품으로 운용한 돈은 오히려 늘어나기도 했다.
2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예금이나 보험, 주식, 채권으로 굴린 돈(자금운용)의 증가액은 61조8000억원으로, 1분기의 43조7000억원과 비교해 18조1000억원 늘었다.
문소상 한국은행 자금순환팀장은 "4∼6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벌어들인 소득에서 지출을 제외하고 예금이나 주식·채권에 유입된 자금이 1분기보다 늘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 잠정치를 보면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보다 0.1% 감소할 정도로 2분기 소득 여건은 1분기에 못 미쳤다.
소득 여건이 악화됐는데 쓰고 남은 돈이 오히려 더 늘었다는 것은 노후 대비나 경기회복 부진으로 가계가 씀씀이를 줄인 것이다.
한편 비금융법인기업 부문은 설비투자 확대 수요 등으로 차입금이 늘면서 자금부족 규모가 1분기 4조4000억원에서 2분기 5조2000억원으로 늘었다.
2분기 중 금융법인이 국내 비금융 부문에 공급한 자금은 총 58조1000억원으로, 1분기보다 4조6000억원 증가했다.
6월말 현재 총 금융자산은 1경4465조원으로 3월말과 비교해 2.6%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