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의와 생활 방식, 도덕적인 시민 태도 등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서구 사회에서 유명한 어구다.
중국에서는 이를 '문명화(文明化)'라고 표현한다. 베이징을 비롯한 중국 내 어느 도시를 가나 '문명'을 강조하는 표어를 곳곳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중국에 거주하게 되면 시민 의식의 부재를 쉽게 느낄 수 있다. 재활용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아무렇지도 않게 뒤섞어 내버리고, 더운 날씨에는 주변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웃통을 벗기 일쑤다.
중국 정부가 그동안 패전을 거듭했던 문명화와의 전쟁을 다시 시작했다. 이번에는 각오가 사뭇 남달라 보인다.
주요 2개국(G2)으로 불릴 정도로 신장된 위상에 걸맞게 행동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다.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시민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환경 보호와 자원 절감을 위해서라도 문명화가 중요하다는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인들 스스로 '져서는 안 되는 전쟁'이라고 표현한다.
무엇보다 미·중 무역전쟁 발발 이후 중국이 서구 사회의 공적이 된 상황에서 괜히 책잡히기 싫다는 속내도 읽힌다. 중국의 문명화 재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
◆시진핑, 쓰레기 분리 수거 혁명을 외치다
지난달 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쓰레기 분리 수거에 관한 중요 지시를 하달하며 "쓰레기 분리 배출은 인민들의 생활 환경, 자원의 절약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사회 문명 수준의 중요한 구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쓰레기 분리 배출을 교육하고 선전해 인민들이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한다"며 "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최고 지도자의 언급에 중국 전체가 쓰레기 분리 수거 혁명에 나섰다. 당국은 즉시 액션 플랜을 공개했다.
이미 쓰레기 분리 수거를 시범 실시하던 베이징 등 46개 주요 도시의 경우 내년까지 쓰레기 분리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2025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한다는 게 골자다.
가장 먼저 나선 곳은 중국의 경제 중심지 상하이다. 지난 1일부터 '생활 쓰레기 관리 조례'를 시행하며 엄격한 단속을 시작했다.
생활 쓰레기는 재활용, 유해물질, 마른 쓰레기, 젖은 쓰레기 등 모두 네 가지로 분리해 버려야 한다.
개인이 어기면 최대 200위안(약 3만5000원), 기업이 위반하면 5만 위안(약 850만원)의 벌금이 부과된다.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상하이에서 조례가 시행된 이후 지난 6일까지 190건의 단속 사례가 나왔다. 개인이 15건, 나머지는 기업 적발 건이다.
쓰레기 분류 용기 미설치가 62.1%, 쓰레기 미분류 배출이 35.8%, 쓰레기 운반 관련 규정 위반이 2.1% 등이었다.
상하이는 1만7800명의 인원을 동원해 단속을 벌이는 중이다. 호텔·상가·병원·아파트·학교 등 단속 대상도 광범위하다.
한국의 '난타'처럼 쓰레기통을 북으로 삼아 연주하는 '쓰레기통 변주곡' 공연이 도심 곳곳에서 열리고, 어린이용 쓰레기 분리 수거 장난감이 출시될 정도로 요란스럽다.
상하이 시민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푸둥신구에 사는 페이자자(裴佳佳)씨는 "최근 직장에서 가장 많이 나누는 대화가 쓰레기 분리 수거에 대한 것"이라며 "아홉살짜리 아이도 밥이나 간식을 먹을 때 '이건 마른 쓰레기야, 저건 젖은 쓰레기야'라고 한다"고 말했다.
페이씨는 "그동안 동네에서도 쓰레기를 마구 버리는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지정된 두 곳에만 버릴 수 있다"며 "현장에서 분리 수거 방법을 안내하는 관리인도 생겼다"고 전했다.
쉬후이구에 거주하는 차이융(蔡永)씨는 "냉장고에 분리 수거 표를 붙여놓고 챙긴다"며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과 자각이 부족했는데 이제는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직 미흡한 점도 눈에 띈다.
윈난성 쿤밍시의 마오쉐펑(毛學鋒)씨는 "고급 아파트 단지에서 분리 수거가 제대로 이뤄져도 운반 과정에서 다른 곳 쓰레기와 뒤섞이는 경우가 많다"며 "관련 인프라 보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주택건설부 환경위생공정기술연구센터의 쉬하이윈(徐海雲) 부주임은 관영 신화통신에 "분리 수거가 시범 실시되는 46개 도시는 전국 도시의 7%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마저도 도시별 진전 속도가 다르고 시민들의 인식도 차이가 난다"고 토로했다.
쉬 부주임은 "선진국에 비하면 중국의 쓰레기 분리 수거 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이라며 "분리 수거 기준이 전국적으로 통일되는 게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지방정부별로는 분리 수거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속출하고 있다.
베이징은 쓰레기 분리 수거 포인트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분리 수거 여부가 확인되면 포인트를 지급하고, 해당 포인트로 지정된 상점에서 생활용품을 구입할 수 있다.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는 데 100포인트가 필요하고 소금은 120포인트, 칼은 150포인트, 쌀 5㎏은 1000포인트가 소요되는 식이다.
이재에 밝은 중국인이 새로운 정책 시행에 따른 사업 기회를 놓칠 리 없다. 쓰레기 분리 수거 제도 도입으로 환경위생 시장 규모가 내년까지 2307억4000만 위안(약 39조5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향후 연평균 6.8%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환경위생 시장은 미국의 60% 수준이라 성장 가능성이 높다"며 "아직 성숙 단계로 진입한 것은 아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중국 내 환경위생 서비스 업체가 5500개 정도인데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쓰레기 분리 수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방정부별 입찰이 급증하면서 업계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 비키니' 역사 속 유물 될까
문명화에 대한 강조는 그동안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던 방예(膀爺·웃통 벗은 남성) 단속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무더위가 찾아오는 여름 중국에서는 웃통을 벗고 활보하는 남성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외신들은 이를 '베이징 비키니'라고 비야냥대고, 듣는 중국인들은 얼굴이 빨개진다.
일종의 전통이라는 항변 속에서도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규제에 나섰다.
산둥성 지난시는 공원과 광장, 버스 등 공공장소에서 상의를 탈의한 채 다니는 '문명적이지 않은 행위'를 할 경우 50~200위안의 벌금을 물리기로 했다.
톈진시와 랴오닝성 선양, 허베이성 한단 등도 단속에 동참하고 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소셜미디어 공식 계정인 협객도(俠客島)의 제언이 귀엽다.
협객도는 지난 6일 '잘 가, 방예'라는 글을 통해 "굶주림과 곤궁, 전란의 역사 속에서 왕은 피서를 갈 수 있었지만 백성들은 그저 웃통을 벗을 수밖에 없었다"며 "이런 환경에서 맨발로 웃통을 벗은 이들을 문명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당 정부 시절 장제스(蔣介石)가 신생활 운동을 전개하며 가래침 뱉는 것을 규제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며 "이후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시민 의식이 높아지면서 가래침을 뱉는 행위가 차츰 줄어들게 됐다"고 부연했다.
협객도는 "맨발이 소멸하는 것은 역사적 과정이었고 베이징 비키니도 조만간 사라질 것"이라며 "다만 그 과정이 폭력적이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중국의 경제 수준이 높아지고 공중도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방예 등 기존 관습은 자연스럽게 없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시 주석을 위시로 한 중국 공산당은 노선·이론·제도·문화 등 '4개 자신감(四個自信)'을 강조하며 중국 특색 사회주의가 서구에 뒤질 게 없다고 선전한다.
한 베이징 소식통은 "4개 자신감을 들먹이며 서구와의 체제 경쟁에서 이겼다고 자평하는 중국 수뇌부는 문화적으로도 서구에 책잡히지 않겠다는 심리가 강해지고 있는 것 같다"며 "문명화 전쟁이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