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D STB는 최신 안드로이드TV OS 9.0(파이)을 적용해 빠르고 안정적인 UHD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스펙으로는 브로드컴 쿼드코어 1.6GHz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DOCSIS 3.0 케이블 모뎀, 8GB 내장메모리, 2GB 램 등으로 최신 안드로이드TV의 요구사항을 반영했다. 화면의 명암과 색감을 풍부하게 표현하는 HDR(High Dynamic Range) 기술과 빠르게 채널을 전환하는 신속채널전환(FCC, Fast Channel Change) 기능도 적용했다.

티브로드 안드로이드 UHD STB 서비스 화면.[사진= 티브로드]
특히 이번 STB는 유튜브와 인공지능(AI) 서비스 구글 어시스턴트 등을 지원한다. 유튜브 4K와 유튜브 키즈로 고화질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플레이스토어, 구글 게임과 영화, 구글 음성 검색이 가능해 추후 AI서비스 확장 가능, AI스피커 연동 및 STB 내 AI 플랫폼 탑재가 가능해졌다.
또한 시각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문자음성 자동변환 기술(TTS)도 도입됐다. 음성안내 서비스는 방통위에서 2017년부터 기술 표준 개발 및 시범서비스를 거쳐 방송사업자들이 적용, 확대하고 있는 서비스다. 특히 디지털케이블TV와 VOD서비스 등이 확대됨으로써 TV조작이 복잡해져 유료방송을 이용하기 어렵다는 시각장애인의 요구를 반영했다.
안드로이드 UHD STB이 포함된 UHD팩은 3년 약정 시 디지털방송 요금에 월 3300원을 추가하면 된다. 1월말까지 한시적으로 디지털방송 신규 고객에 한해 월 2200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승춘 티브로드 영업부문장은 “케이블TV 서비스 확장성과 향후 방송시장에서 주요 플랫폼이 안드로이드TV OS가 될 것을 고려, 이번 셋톱박스 도입을 결정했다”며 “신규 UHD 셋톱박스를 통해 향후 티브로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된 AI 서비스, 고객 분석을 통한 타깃 광고 서비스 등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