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고농도 초미세먼지 광역지자체 1위는 '충북'

  • 기초단체로 고농도 초미세먼지 1위 경기 여주

  • "충청권과 경기 남부권, 중국발 등 국외 미세먼지 직접적 타격 받는 지역"

지난해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가장 높았던 지역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충청북도, 기초지방자치단체로는 경기 여주로 각각 확인됐다.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의 연평균 PM2.5 농도는 28㎍/㎥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충북은 2018년에도 초미세먼지 농도가 26㎍/㎥로 17개 광역 시·도 중 1위를 차지해 2년 연속 대기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기도와 세종시, 충남도와 전북도가 각각 26㎍/㎥로 집계됐다. 서울은 25㎍/㎥를 기록, 전국에서 6번째로 높았다. 전남도와 경남도, 제주도는 19㎍/㎥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았다. 

충북에 유독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이유로 지역 주변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분지 지형(청주 등)과 낮은 풍속에 의한 불리한 대기확산 조건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는 게 환경과학원 설명이다.

기초단체별로는 경기 여주가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33㎍/㎥로 나타나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부천·충남 당진·충북 증평(이상 32㎍/㎥), 전북 익산·충남 아산(이상 31㎍/㎥), 경기 시흥(30㎍/㎥) 순이었다.

김학용 위원장은 "충청권과 경기 남부권은 편서풍을 타고 유입되는 중국발 등 국외 미세먼지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지역이지만, 정작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은 서울 등 일부 수도권에만 집중돼 있다"며 "면밀한 대책을 통해 미세먼지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예산 집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세먼지 뚫고 고향으로 고향으로[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