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센터장들 단기조정 불가피…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매수’ 유효

  • 충분히 하락, 매수 구간… 2분기 이후 회복 이뤄질 것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펜데믹) 공포감에 코스피지수가 2000선이 붕괴되는 등 금융시장이 초토화됐다.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단기적 관점에서 외국인들의 매도에 따른 조정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다만 지수가 지나치게 하락한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반등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고 전망했다.

지난달 28일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3.3% 하락한 1987.01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가 종가기준 1980선까지 밀린 건 작년 9월 4일(1988.53) 이후 처음이다. 지난 한 주간 하락폭은 8.12%며, 지수로는 175.83포인트가 급락했다. 3조4615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한 외국인들의 영향이 컸다.

국내 증권사 리서치 센터장들은 당분간 코스피는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한국과 이탈리아 등 유럽 각지로 확산되는 확진자 수 증가 추세를 감안해보면 당분간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큰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각국에서 경기 부양책과 회복 가능성이 하나둘씩 나오고 있고, 주가가 워낙 싸졌기 때문에 반등과 조정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속도가 빨라 시장에서도 우려감이 지속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외국인들의 국내 주식시장 매도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도 단기적 하락세는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그는 “당초 생각보다 코로나19의 확산 속도가 빠르다”며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시장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중국 영향도 크지만 미국 영향도 크게 받는 나라”라면서 “그러다 보니 당분간 증시도 이에 따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코스피지수가 2000선을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다만 주가가 지나치게 하락한 만큼 조정폭도 작아질 것으로 봤다. 이창목 센터장은 “코스피의 경우 금융위기 때 기록했던 PBR 레벨(0.85배)까지 하락했다는 점에서 매도에 따른 실익이 크지 않다”면서 “투자자들도 섣부른 매도보다 코로나19의 확산 상황을 지켜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히려 매수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신동준 센터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시그널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 주가수준은 분할 매수할 만한 구간”이라며 “향후 경제지표 악화 가능성은 이미 시장에 반영돼 있다”고 강조했다.

2분기 이후부터 반등하는 장세가 나올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최석원 센터장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연말이나 연초 증권사들이 예측했던 주가보다 내려갈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전체적인 패턴으로는 1분기 때 주가가 가장 안 좋고 2분기와 3분기에 정부 정책을 통해 상승이 나타나고. 그 뒤에 상승 탄력이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1990선도 무너진 코스피.[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