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내용을 미리 알고 있었다는 논란과 관련해 외교부가 "10억엔이라는 액수에 대해 윤 당선인과 정의기억연대에 미리 알려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윤 당선인은 당시 일본 정부의 예산 10억엔 거출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1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외교부가 윤 당선인에게 합의 내용을 사전에 통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2017년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 결과 보고서로 대답을 갈음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보고서에는) 설명이 안됐다고 나와 있다"며 "한국 쪽이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기술돼 있다. 액수에 관해서도 피해자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고 돼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 피해자들의 이해와 동의를 이끌어내는 데 실패했다고 결론이 나있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배상금 내지 보상금을 누가 요구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것 아니냐'는 물음에 "보고서 내용에 10억엔에 대한 설명도 있다. 당시 어떻게 해서 이런 숫자가 나왔는지 알 길이 없다는 취지의 언급도 있다"고 답했다.
또 "10억엔은 양국 합의에서 보듯이 성격이 써져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12일에도 "피해자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구절도 있다"며 이 보고서를 언급, 윤 당선인의 주장에 무게를 실은 바 있다.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 남구의 한 찻집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정의연이) 2015년 한·일 합의 때 10억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지 알려주지 않았다. 외교통상부(외교부)도 죄가 있다"고 폭로했다.
이에 윤 당선인 측은 합의 전날 외교부로부터 합의 내용 일부를 통지받은 사실 자체에 대해서는 인정했다.
그러나 "책임통감, 사죄·반성, 일본 정부 국고 거출 등 합의 내용 일부가 있었고 불가역적 해결, 국제사회 비판자제, 소녀상 철거(정확한 합의상 표현은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 등 민감한 내용은 빠져있었다"고 반박했다.
윤 당선인은 당시 일본 정부의 예산 10억엔 거출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1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외교부가 윤 당선인에게 합의 내용을 사전에 통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2017년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 결과 보고서로 대답을 갈음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보고서에는) 설명이 안됐다고 나와 있다"며 "한국 쪽이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기술돼 있다. 액수에 관해서도 피해자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고 돼있다"고 강조했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후원금 회계 관련 의혹이 연일 제기되는 가운데 1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더불어시민당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의 사퇴 등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리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이 당국자는 '배상금 내지 보상금을 누가 요구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것 아니냐'는 물음에 "보고서 내용에 10억엔에 대한 설명도 있다. 당시 어떻게 해서 이런 숫자가 나왔는지 알 길이 없다는 취지의 언급도 있다"고 답했다.
또 "10억엔은 양국 합의에서 보듯이 성격이 써져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12일에도 "피해자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구절도 있다"며 이 보고서를 언급, 윤 당선인의 주장에 무게를 실은 바 있다.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 남구의 한 찻집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정의연이) 2015년 한·일 합의 때 10억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지 알려주지 않았다. 외교통상부(외교부)도 죄가 있다"고 폭로했다.
이에 윤 당선인 측은 합의 전날 외교부로부터 합의 내용 일부를 통지받은 사실 자체에 대해서는 인정했다.
그러나 "책임통감, 사죄·반성, 일본 정부 국고 거출 등 합의 내용 일부가 있었고 불가역적 해결, 국제사회 비판자제, 소녀상 철거(정확한 합의상 표현은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 등 민감한 내용은 빠져있었다"고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