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산업활동 '여전히 흐림' 소비심리는 '점차 맑음'


광주와 전남지역 산업활동이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소비심리는 점차 되살아나고 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29일 발표한 4월 산업 동향을 보면 광주의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4월보다 17.1% 줄었고 3월보다 6.2% 줄었다.

 

올해 광주시 산업활동 동향[사진=호남통계청 제공]



제품 출하는 전년과 전달에 비해 17.1%와 5.6% 줄었다.

재고는 제품 출하가 줄면서 전년과 전달보다 20.3%와 1.8% 늘었다.

광주지역의 주력 업종인 자동차 생산은 16.8% 줄었고 전자부품 컴퓨터 생산은 30.9% 줄었다.

출하 역시 자동차(-24.5%), 전자부품·컴퓨터(-31.8%)에서 많이 줄었다.

전남의 광공업생산도 전년과 전달보다 각각 6.6%, 3.0% 줄었다.

물건이 팔리지 않아 출하 역시 9.2%와 5.5% 줄었고 재고는 3.9%와 3.1% 늘었다.

광양제철과 여수화학산단의 1차 금속(-17.5%)과 화학제품(-6.8%)의 생산이 줄었고 화학제품(-9.7%)과 1차금속(-24.6%)의 출하 역시 줄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사라진 소비심리는 조금씩 되살아나고 있다.

광주의 백화점과 대형마트 같은 대형소매점의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6% 늘었다.

특히 가전제품(51.1%)과 신발·가방(27.4%) 판매가 크게 늘었다.

전남 역시 가전제품(21.4%)과 음식료품(11.2%)의 판매 증가로 소폭(0.9%) 늘었다.

건설분야는 지역별로 희비가 엇갈린다.

광주는 공공부문(668.0%)이 크게 늘었고 민간부문(185.2%) 활성화에 힘입어 197.6% 급증했다.

토목은 1720.5%로 무려 17배, 건축 부문은 191.0%로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은 공공부문에서는 61.9% 늘었지만 민간 부문에서 - 86.0%를 기록, 전체적으로 -79.7%로 나타났다.

호남통계청은 코로나19 여파로 지역의 생산 동향이 아직 회복하지 못했지만 지자체의 긴급 생계비 지원, 공공부문 조기 재정 지출 확대로 소비 심리와 건설 실적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 5월 조사에서는 코로나 19 후유증이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