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17/20210517153723780173.jpg)
[사진=안양시 제공]
최 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 속 중소상공인과 저소득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에 총력을 다하면서 방역과 백신 접종까지 신경 쓰는 등 안양형 경제회복에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무엇보다 코로나19로 힘들어 하는 시민들을 돕기 위해 중기 소상공인 특례보증, 상수도요금 감면, 긴급지원·복지 확대 등 서민들의 아픔을 달래는 데 힘을 보태고 있어 눈길을 끈다.
◆ 소상공인 행복지원자금 120억원 지원
◆ 생활안정자금으로 코로나19 사각지대 핀셋 지원
운수종사자, 예술인, 주민자치프로그램·평생교육 강사, 민간·가정어린이집 원장 등 정부의 코로나19 법적 지원 대상에 빠진 계층을 지원한다. 시는 코로나19 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이 같은 계층을 지원할 생활안정자금으로 20억 원을 추경에 확보, 5월 초 기준 3116명에게 12억5000만원을 지급했다.
◆ 긴급지원 확대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적 큰 위기에 처한 중위소득 일정기준 이하(75%∼100%)인 가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다. 정부차원의 긴급지원은 4인 가족 기준 356만원으로 4월까지 501가구에 3억2천만 원을 지원했다. 또 4인 가족을 기준으로 487만원인 경기도형 긴급복지는 375가구 대상 2억8700만원 지급을 마쳤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17/20210517153809208847.jpg)
[사진=안양시 제공]
시는 금년도 중소기업육성자금으로 1000억원을 마련해 5월중순 기준, 102건에 342억원을 지원했고, 특례보증으로 27개 기업에 30억원을 지원했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은 150억원을 확보해 5월중순까지 414건에 107억원 넘게 지원하는 등 기업체와 소상공업의 회생에도 부응하고 있다. 코로나19 진단검사로 자가격리에 들어간 취약계층노동자의 소득손실을 안양사랑페이로 지원하는 취약노동자 병가소득손실보상금 지원도 병행중이다.
◆ 상하수도요금 감면 등 세재 혜택으로 공공요금 부담 완화
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상수도요금 감면을 전격 시행했다.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2∼4월 3개월 납기분 50%감면을 시행, 총 감면액은 17억5700만원에 달했다. 또 공유재산사용료(376건 6억3900만원)와 교통유발부담금(6672건 부과, 28억1100만원)도 일정규모 건물에 대해 30% 감면을 시행해 건물주들의 부담을 덜어줬다. 지방세인 재산세의 경우, 지난해와 같이 착한임대인에 대해 임대료 인하액의 50% 감면 혜택도 부여키로 했다.
◆ 지역자활 플러스일자리 추진
근로 능력이 있는 취약계층으로서 코로나19로 실직이나 폐업에 처해 있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사업이다. 오는 8월까지 생활방역과 백신접종 등을 지원하게 되는데 현재 320명이 배치된 상태다. 또 코로나19 사망 유족에 대해서는 사망자 한 명당 1300만원을 장례비로 지원했는데 기간은 코로나19 종료 시점까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17/20210517153923168004.jpg)
[사진=안양시 제공]
이와 함께 코로나19를 이겨내려는 다양한 분야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자각격리자 물품지원과 취약계층 마스크 제공을 비롯해 저소득가정과 복지시설,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 자가격리 가구 등에 대해 생필품, 방한용품, 놀이키트 등을 지원해오고 있다.
한편 최 시장은 "시정운영 전반을 코로나19 회복에 초점을 맞춰 삶이 더욱 힘들어진 소상공인과 저소득 취약계층을 돕는데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