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에너지 가격 안정을 위해 현 상태에서 개입하는 방법은 2가지 정도인데, 그마저도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비상 비축유 공급과 미국 외 에너지 수출 제한이 바로 그것들이다. 일단 비축유 방출의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 그렇다고 국외로의 수출을 금지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이는 동맹국들의 반발을 살 수 있으면, 장기 사업 계약을 위배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지난 10월 25일 갤런당 평균 3.38달러였던 소매용 휘발유 가격은 2021년 약 50% 상승했다.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이미 넘어선 것이다. 국제 유가가 올해 70% 급등한 것은 수요 반등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미국의 생산량은 코로나19 이전으로 밑돌고 있고, 석유수출기구(OPEC)를 비롯한 동맹국들은 증산에 대해 미온적 태도를 보인다. 백악관 역시 현재로서는 별다른 수단이 없다고 지적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5일 기자회견에서 "유가가격과 관련,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일단 연방무역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에 가격 조작 가능성을 조사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OPEC플러스(+)로 대표되는 국가들에 생산량 증가를 촉구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 국내에서는 정부의 지나친 친환경 정책이 에너지 가격의 상승을 불러왔다는 비판이 나온다. 올해 초, 조 바이든 대통령은 키스톤 XL 파이프라인 허가를 취소하고 연방 영토와 수역에 대한 시추 활동을 중단했다. 이에 대해 일부 주에는 행정부에 대한 고소가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백악관이 에너지 생산 업체들에 대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0/28/20211028160809755936.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파월 의장은 공급망 병목현상이 예상보다 오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 측면의 부족 사태가 악화했으며, 공급망 병목이 더욱 길어질 위험성이 분명히 커졌고 이는 더 높은 물가 상승률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연준은 당장 다음 달부터 자산매입 규모를 줄여 유동성 공급을 줄이는 테이퍼링을 시작할 예정이다. 테이퍼링이 종료되는 내년에는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