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북도, 권역별 지역자산 활용...경북형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 추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동) 최주호 기자
입력 2022-01-27 16: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26년까지 3만개 일자리 창출 목표...16개 일자리 창출 전략과제 추진

경북도청 청사 전경.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는 권역별로 지역자산을 활용한 생활경제권 중심의 내생적 성장 전략인 ‘경북형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을 도정 핵심 전략으로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지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해 지역의 경쟁력과 고용 성과를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기존의 자원조정 형태의 전략과는 차별화된 지역과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사람 중심의 일자리 창출 방안이다.
 
‘경북형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은 경북을 4개 생활경제권으로 구분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16개 전략과제에 5000억원(국비 3500, 도비 1000, 시군비 500)을 투입해 3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추진된다.
 
북부권(문경-봉화-안동-영양-영주-예천-의성-청송)은 농촌지역 고령화로 인한 생활경제권 유지와 농업 고도화, 식품‧바이오 영역이 지역경제와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 관광자원 활성화와 일자리 간 연계성을 고려한 ‘인구소멸 위기극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남부권(경산-영천-청도-고령-성주)은 전략산업인 자동차부품 산업이 지역경제와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대학 밀집으로 인한 청년층 창업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의 최적지임을 반영해 ‘상생일자리 & 청년희망 프로젝트’를 추진할 방침이다.
 
동부권(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은 포항 중심의 철강 및 소재 분야, 이차전지(배터리)와 연계된 연관업종들이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안전한 일터 & 신성장 일자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서부권(구미-군위-김천-상주-칠곡)은 2013년 이후 전자산업 중심으로 고용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지역산업 위기→일자리 위기→청년 유출→지역위기’의 악순환이 진행되고 있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 ‘산업위기 R&D 일자리 극복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4개 생활경제권에 더하여 지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포용적 일자리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3개 전략과제로 경력단절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적 일자리 사업’, 도내 중소기업이 중장년(40~64세) 신규 채용 시 1인당 월 100만원(1년간/총 1200만원)을 지원하는 ‘중장년 중소기업 취업지원 사업’, 지역 거주 50세 이상 중장년 세대를 파트타임직으로 고용하는 지역 소상공인에게 1개월 기준 급여액의 40%를 지원하는 ‘신중년 파트타임 일자리 지원사업’을 추진해 일자리 취약계층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최고의 복지 서비스는 일자리 창출이다”라면서, “도민에게 따스한 일자리 행복을 주고, 청년에게 희망찬 기회와 도전의 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 사업에 도정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