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18/20220218170308165205.jpg)
강원도 연해주 평화경제협력 토론회장[사진=이동원 기자 ]
이번 토론회는 강원도, 강원도의회, 동해시, 러시아 연해주정부, 연해주의회, 블라디보스톡시 등 지방정부와 극동지전략지정학연구센터, 동북아평화연대 등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학계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강원도와 연해주 간 평화경제협력의 실행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는 오미크론에 의한 코로나19 확산으로 강원도와 연해주 간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강원도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됐다. 또한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한국어-러시아어 순차통역이 제공됐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강원도와 연해주의 경제협력 현황과 전망, △동해~연해주 간 협력의 지전략적(geo-strategic) 의미, △미국과 중국의 식량공급망 전쟁에 대한 우리의 대안, △슬라비얀카 항구의 한러 전용항만 개설전망, △환동해 관광․물류․항로 활성화 전망 등의 주제를 논의했다.
행사의 기조강연을 맡은 김형원 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은 강원도와 연해주의 지난 24년 간 교류협력의 평가와 미래 평화경제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이어 오성환 前 주블라디보스톡대한민국 총영사의 ‘동해~연해주 간 협력의 지전략적(geo-strategic)의미’ 발표에 대해 스타리치코프 러시아 연해주 대외협력청장이 토론을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18/20220218170522557236.jpg)
기조강연을 맡은 김형원 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사진=이동원 기자 ]
마지막으로 후루쉬쵸프 극동지전략지정학연구센터 소장은 환동해 관광․물류․항로 활성화 전망을 발제하고 최용봉 동해시 투자유치과장이 환동해권 복합물류 중점항만으로 동해항 육성을 제안했다.
강원도 글로벌투자통상국 안권용 국장은“이번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전략을 바탕으로 향후 강원도와 연해주 간 하늘 길, 바닷 길 개설과 나아가 한반도 동해선을 통한 땅 길 연결에 대비해 기업, 보건, 의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평화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