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25/20220225172805360980.jpg)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 사태에 무력한데, 한국 안보 차원에서 미국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게 맞는지 회의감이 든다'는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정 장관은 "한반도 안보를 위한 한·미 동맹은 워낙 굳건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상황과 비교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특히 "한·미 동맹은 외교 안보의 근간일 뿐 아니라 우리는 우크라이나와 달리 자체 방어 능력이 상당한 수준이기 때문에 미국의 우크라이나 상황 대처와 관련해 조금도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전날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 동참 의사를 밝힌 가운데, 지성호 국민의힘 의원은 '미국 등이 우크라이나에서 군사행동을 할 가능성과 이 경우 한국이 동참할 의사가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정 장관은 "우리 동맹이나 우방국들이 우크라이나에서 군사적 행동을 할 계획은 없다고 거듭 천명하고 있다"며 "당연히 우리도 그런 가능성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보다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인 교민을 철수시키는 데 더 집중하는 모습이다. 현지시간 24일 오후 6시 기준으로 64명이 현지에 남아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 장관은 "이들 가운데 출국을 희망하는 36명에 대해 가급적 이번주 내 철수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며 "공관장을 비롯한 공관 인력의 대부분은 계속해서 교민 철수를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공항이 폐쇄되고 육로 이용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대사관 직원 일부는 최근 서부지역 리비우로 파견돼 우리 국민의 육로 출국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정 장관은 "우리는 4대 다자수출통제체제의 일원으로서 러시아에 대한 전략물자 수출통제에 동참할 것"이라며 "여타 제재 조치도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