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교도통신 등 외신은 아베 총리가 후지TV에 출연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 중 일부가 채택하고 있는 '핵 공유' 정책에 대해 일본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NATO는 핵 공유 정책을 통해 미국의 핵무기를 자국 영토에 배치해 공동 운용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소련 붕괴 이후 미국, 러시아, 영국이 주권과 안전보장을 약속한 부다페스트 각서에 따라 우크라이나·카자흐스탄·벨라루스가 핵무기 보유를 포기한 것을 언급하면서 "당시 전술핵을 일부 남겨두는 것이 어땠을까 하는 논의도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고려할 때 "세계의 안전이 어떻게 지켜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해서는 안 된다"라며 일본 역시 여러 선택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27/20220227183039182992.jpg)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사진=로이터·연합뉴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제 2차 세계대전 후반부에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원자폭탄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일본은 핵무기 폐기라는 목표를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이 현재 국가 정책으로 유지하고 있는 이른바 '비핵 3원칙'에 저촉된다는 논란을 낳을 수 있는 상황에서 이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비핵 3원칙은 핵무기를 제조하지 않고, 보유하지 않고, 반입하지 않는다는 원칙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