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상은 경제적인 협력과 탄력적 공급망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룰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무역촉진구역, 공급망, 농산물 무역 등의 내용도 논의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내용은 얼마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의 주요 구성 요소와 유사하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당초 IPEF에는 대만도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보복을 두려워한 일부 국가들이 대만이 합류하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이번 협상은 미국과 대만의 경제 관계를 더욱 격상하기 위한 노력으로 양국 정부가 기존 무역투자기본협정(TIFA)에 따라 진행해왔던 대화 범위를 넘어설 예정이다"라고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 도중 중국이 무력으로 대만을 침략할 경우 미국이 군사적 개입에 나설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말했다. 이에 중국이 크게 반발하면서 미·중 간의 갈등은 첨예해지고 있다.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에 대한 정책이 바뀐 것은 아니라고 해명하기는 했지만, 미국이 대만과의 경제적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나설 경우 긴장은 다시 고조될 우려가 있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지난 26일 연설에서 대만에 대한 미국의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으며, 미국이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만 미국과 대만은 "비공식적이지만 강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관리들은 특히 반도체에 대한 대만 의존도가 지정학적 전략적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국내 반도체 제조를 장려하는 보조금 프로그램을 추진해왔다. 대만은 수년간 미국에 무역협정 협상을 압박해 왔지만, 미국 관리들은 어떤 협상이라도 성사되기 위해서는 농업 등 대만의 경제 관행에 걸림돌이 풀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해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27/20220527140615998282.jpg)
한 엔지니어가 대만 신추에 위치한 대만반도체연구소에서 반도체 칩을 들어 보여주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