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1/20220921143027748759.jpg)
거텀 아난드 구글 유튜브 아시아태평양 지역(APAC) 총괄 부사장이 21일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된 '유튜브 APAC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에서 발표하는 모습 [사진=유튜브]
거텀 아난드 유튜브 아시아태평양 지역(APAC) 총괄 부사장은 21일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된 '유튜브 APAC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에서 "옥스퍼드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유튜브 창작 생태계는 호주·인도·일본·한국 등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에 40억 달러(약 5조6000억원) 이상 기여했다"고 언급하고 쇼츠의 새 수익 모델을 공개했다.
창작자는 쇼츠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에 가입하면 된다. 유튜브는 더 많은 쇼츠 창작자를 지원하기 위해 YPP 가입 요건을 확대했다. 기존에는 구독자 1000명·90일간 쇼츠 조회수 1000만회를 달성해야 했다. 앞으로는 구독자 1000명·이용자 시청 4000시간만 충족해도 가입이 가능하다. 초기 단계에 있는 쇼츠 창작자 대상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차원이다. 2007년 시작된 YPP의 현재 회원 수는 200만명 정도다.
이번 광고 모델 도입으로 앞서 운영된 '쇼츠 펀드'는 중단될 예정이다. 유튜브가 2021년부터 2년간 운영한 쇼츠 펀드는 1억 달러(약 1400억원) 규모였다. 펀드 수혜자의 40%가 쇼츠로 처음 수익을 얻은 창작자들이다. 고정된 액수만으로는 창작자를 충분하게 지원하지 못한다는 판단이었다는 게 유튜브의 설명이다.
유튜브가 광고 모델을 도입하는 이유는 틱톡을 넘어서기 위해서다. 글로벌 모바일 앱마켓 분석 사이트 데이터에이아이(data.ai)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유튜브 앱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19.4시간으로 틱톡(23.6시간)에 뒤처졌다. 한편, 틱톡의 경우 영상과 영상 사이 광고는 아니지만 콘텐츠 형식의 광고 등 방식으로 수익을 얻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