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23/20221223102701807556.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내년 통화정책과 관련해 '물가안정'에 방점을 두고 기준금리를 운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경기와 금융·외환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금리 수준과 유지기간 등을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전날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의결하고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기준금리 운용 기조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공표했다. 이번 통화정책 운영방향 발표는 한은법 제6조(2항)에 따른 것으로 한은은 매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수립하여 공표하도록 명시돼 있다.
한은은 우선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목표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내년 중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한은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 중반,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에너지 제외)은 2%대 후반을 각각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내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6%, 경제성장률은 1.7%로 각각 전망한 바 있다.
다만 한은은 국내외 경기 둔화폭, 주요국 통화정책,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누증된 비용 상승압력의 전가 정도 등과 관련한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보고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높은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금융시장 안정과 관련해서는 금융시장과 금융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필요 시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겠다는 구상이다. 경기 둔화와 국내외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부진 등 대내외 여건 변화로 잠재위험 요인이 현재화될 가능성에 각별히 유의한다는 계획으로, 시나리오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지속적으로 점검·보완해 시장 불안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고 필요 시 추가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한편 가계부채 리스크,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비은행금융기관의 유동성·신용 리스크 증대 등을 다각도로 점검하고 중장기적인 가계부채 구조개선 및 부동산 익스포져에 대한 건전성 관리 방안 등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외환시장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국내 외환부문의 취약요인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환율의 과도한 쏠림현상에 대해서는 안정화 조치를 통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전날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의결하고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기준금리 운용 기조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공표했다. 이번 통화정책 운영방향 발표는 한은법 제6조(2항)에 따른 것으로 한은은 매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수립하여 공표하도록 명시돼 있다.
한은은 우선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목표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내년 중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한은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 중반,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에너지 제외)은 2%대 후반을 각각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내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6%, 경제성장률은 1.7%로 각각 전망한 바 있다.
다만 한은은 국내외 경기 둔화폭, 주요국 통화정책,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누증된 비용 상승압력의 전가 정도 등과 관련한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보고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높은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가계부채 리스크,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비은행금융기관의 유동성·신용 리스크 증대 등을 다각도로 점검하고 중장기적인 가계부채 구조개선 및 부동산 익스포져에 대한 건전성 관리 방안 등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외환시장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국내 외환부문의 취약요인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환율의 과도한 쏠림현상에 대해서는 안정화 조치를 통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