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한국호텔업협회와 호텔 서비스 혁신 방안 논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다이 기자
입력 2024-05-28 09:1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호텔업협회가 28일 오후 2시 30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호텔 관광서비스 혁신 포럼'을 열고 호텔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한진수 경희대학교 교수, 강동진 문체부 관광산업정책과장, 김현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현주 한국직업능력개발교육원 원장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장미란 차관은 "외래관광객이 한국에서 만족스러운 여행 경험을 쌓고 국민도 쾌적한 국내 관광을 즐기는 데에, 관광호텔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은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호텔이 직면한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맞춘 호텔 서비스 혁신 방안을 다각으로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1010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10.10[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호텔업협회가 28일 오후 2시 30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호텔 관광서비스 혁신 포럼’을 열고 호텔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이후 처음 열리는 호텔업계 논의의 장으로 업계와 관련 학계, 여행 관련 콘텐츠 창작자(인플루언서) 등 150여명이 참여한다. 장미란 문체부 제2차관도 참석해 호텔업계 관계자들을 격려한다.

방한 관광객의 국적이 다변화되고 이들의 여행유형과 호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다양화되는 등 호텔을 둘러싼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무인 키오스크, 서비스 로봇 등 디지털전환 기술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호텔업에 대한 외국인고용허가제(E-9)가 올해부터 시범적으로 허용되는 등 고용환경 역시 달라졌다.
 
사진문체부
[사진=문체부]
 
이에 이번 포럼에서는 ‘외래관광객 2000만명 유치, 호텔 서비스의 변화와 혁신으로부터!’라는 표어 아래 우리나라 관광호텔의 과거를 분석하고 현재를 진단하며 미래를 전망한다.
 
1부에서는 김다영 여행작가가 ‘나는 호텔을 여행한다’를 주제로 숙박여행 시 선호하는 호텔 경향과 특색 있는 해외 지역 호텔의 사례를 발표한다. 이어 호텔에이치디시(HDC-안다즈, 파크하얏트), 홀리데이인 익스프레스 서울 홍대, SK네트웍스 워커힐 호텔 관계자들이 코로나 이후 호텔 인사관리제도의 변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 전략 등 업계의 자구 노력 사례를 공유한다.
 
2부에서는 조동욱 한국생산성본부 팀장이 ‘호텔 서비스 수준의 국제적 흐름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산·관·학 관계자들이 ‘호텔서비스 경쟁력 제고 방안’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간다. 한진수 경희대학교 교수, 강동진 문체부 관광산업정책과장, 김현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현주 한국직업능력개발교육원 원장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장미란 차관은 “외래관광객이 한국에서 만족스러운 여행 경험을 쌓고 국민도 쾌적한 국내 관광을 즐기는 데에, 관광호텔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은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호텔이 직면한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맞춘 호텔 서비스 혁신 방안을 다각으로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