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수소버스 완충까지 30분"…전국 첫 그린수소 단지 가보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제주=최예지 기자
입력 2024-06-20 16:3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위잉, 위잉" 지난 19일 제주 조천읍 함덕리의 그린수소 충전소를 찾았다.

    전기차보다 충전 속도가 빠르고 주행거리가 길다 보니 버스 운전자들도 수소버스를 더 선호한다.

    그린수소 충전소 투어를 담당한 현정헌 한국가스기술공사 안전관리책임자는 "수소버스의 경우 전기버스와 달리 한번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며 "수소 버스를 계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제주, 친환경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 속도

  • 한번 충전으로 500km 주행...전기보다 길어

  • "2035년 재생에너지 비율 70% 이상 기대"

함덕 그린수소충전소에서 수소버스가 충전을 하고 있다사진최예지 기자
제주 조천읍 함덕리에 위치한 그린수소충전소에서 수소버스가 충전하고 있다. [사진=최예지 기자]
"위잉, 위잉"

지난 19일 제주 조천읍 함덕리의 그린수소 충전소를 찾았다. 거대한 주황색 튜브 트레일러 옆에 위치한 수소 압축기 2대가 굉음을 내며 수소를 압축하고 있었다. 제주는 지난해 10월 국내 최초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운송·활용 전(全) 주기 생태계를 구축해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국내 그린수소 생태계 조성을 선도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린수소는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력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에너지 안보와 기후 위기 대응, 탄소 중립을 강조하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그린수소를 생산해 활용하기까지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선 제주 구좌읍 행원리의 그린수소 실증단지에서 알칼리(ALK) 수전해 설비와 팸(PEM) 수전해 설비로 그린수소를 생산한다. 총 사업비 222억원이 투입된 행원 생산시설에서는 하루 최대1.2t의 그린수소를 만들 수 있다.

생산된 그린수소를 버퍼탱크에서 고압한 후 대당 최대 200㎏(200bar)을 담을 수 있는 튜브 트레일러를 이용해 수소 충전소로 운송한다. 충전소에 도착한 수소는 2차례 압축 과정을 거쳐 차량 충전에 사용된다.

수소를 재충전하는 리커버리 시간 등을 고려하면 수소버스(25㎏ 기준)를 완충하는 데 30분가량 소요된다고 한다. 한 차례 충전으로 약 500㎞ 주행이 가능하다. 반면 전기버스는 충전 시간만 40분~1시간이 소요되며 주행거리도 250㎞ 내외다.

전기차보다 충전 속도가 빠르고 주행거리가 길다 보니 버스 운전자들도 수소버스를 더 선호한다. 그린수소 충전소 투어를 담당한 현정헌 한국가스기술공사 안전관리책임자는 "수소버스의 경우 전기버스와 달리 한번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며 "수소 버스를 계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제주는 현재 수소 차량으로 관용차 10대, 버스 9대, 청소차 1대를 운영 중이다. 오는 2030년까지 수소버스 300대, 청소차 200대로 확대하고 수소를 이용한 수소트램도 도입해 교통난 해소에 활용할 방침이다. 
 
함덕 그린수소 충전소의 튜브 트레일러 앞에서 설명하고 있다 사진최예지 기자
함덕 그린수소 충전소의 튜브 트레일러 앞에서 현정헌 한국가스기술공사 안전관리책임자가 설명하고 있다. [사진=최예지 기자]

 
다만 이 같은 그린수소 전 주기 시설을 조성하기까지 지역 주민의 반발을 피할 수 없었다. 고윤성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성장과장은 "당시 수소 폭발 위험 등으로 주민들 걱정이 컸지만 정면 돌파를 선택, 자료를 제공하고 설득한 끝에 결국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회상했다. 

실제 그린수소 충전소 설치를 위해 도민들을 설득하고 최종 완공하는 데까지 14~15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다. 고 과장은 "통상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민 수용성을 높이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하지만 제주도민들은 (다른 지역보다) 수용성이 높다"며 "해외 전문가들이 놀라워하는 이유"라고 자평했다.

제주는 2035년까지 아시아 최초로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기반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날 오영훈 제주지사는 '2024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기자간담회에서 "(그린수소 발전을 통해) 현재 19.1%대인 제주 내 재생에너지 비율이 2035년 70%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