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2일 발간한 '2025년 글로벌 통상환경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 한 해 통상환경을 좌우할 요소로 △경제안보 △관세 △중국발 공급과잉 △자원의 신무기화 △제조업 부흥 등 5가지를 꼽았다. 보고서는 이들의 앞 글자를 따 2025년은 우리 기업들에게 험난한 '풍파(S.T.O.R.M)'와 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관세다. 보고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임기의 시작과 함께 보편관세, 상호관세, 대(對)중국 고율관세 등 적극적인 관세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던 보편관세의 경우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활용해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다만 전 품목에 적용하기보다는 특정 국가와 품목을 지정해 상대국의 관세 인하 유도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됐다. 기존의 무역확장법 232조 및 통상법 301조 조치의 경우 대상 품목이 자동차와 레거시 반도체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미국의 관세 조치는 역내 제조업 육성과도 연결된다. 기존 바이든 행정부의 '당근' 정책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반도체과학법(CHIPS) 등과 같은 보조금 지급보다는 고율의 관세를 활용한 '채찍'을 활용해 제조업 공급망 강화를 꾀할 전망이다. 고율의 관세장벽을 구축해 관세 부담을 피하려는 국내외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를 유도하는 것이다. 트럼프와 더불어 재집권에 성공한 폰 더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역시 EU반도체법·그린딜 산업계획 등 자신의 방식대로 유럽의 산업 경쟁력 제고와 투자 촉진을 위한 제조업 살리기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보고서는 향후 이뤄질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기업의 관세 면제 절차를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트럼프 1기 시절에 우호적인 기업에 대해 개별 관세 면제 가능성이 높았던 점에서 착안한 것으로, 미국 제조 공급망과 고용 창출 등에 대한 우리 기업의 기여도를 적극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은 "2025년 글로벌 통상환경은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각국의 제조업 부흥을 위한 지원정책 경쟁으로 우리 수출기업에게는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해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다만 이러한 상황이 우리 기업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만큼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수출시장 다변화, 중국 대체 국가로서의 위상제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