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회장은 1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트럼프 정부 출범 등 국제질서 변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올해 경제전망에 대해 “소비, 고용, 수출 등 각종 경제지표가 좋지 않다”며 “미국 주도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 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세계 무역 질서가 다자주의 체제에서 양자주의 체제로 바뀌고 있어 한국의 수출주도형 경제모델은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경제 질서가 바뀐다는 것은 마치 씨름에서 수영으로 경기의 종목과 규정이 바뀌는 것과 같다”며 “지금까지 씨름을 잘해왔던 선수라도 (씨름방식으로) 수영 경쟁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최 회장은 △해외투자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등의 기존 수출 대체모델도 제시했다. 그는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안에 대한민국의 투자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며 투자 다각화를 강조했다.
소프트 파워와 관련해서는 “통상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문화 상품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만들어 판매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보다 더 체계적으로 세계화된다면 우리가 그 안에서 얻을 부가가치는 훨씬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최 회장은 ‘해외시민 유입을 통한 내수 확대’와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보상’ 등이 필요하단 의견을 냈다.
AI 패권전쟁에 대한 전략도 제시했다. 그는 “무엇보다 AI에 대해 국가 차원의 전략이 중요하다”며 “AI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모든 것을 다 잘하겠다’가 아니라 그중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부문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AI를 활용해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제조 AI’와 ‘한국 차원의 거대언어모델(LLM)’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한 에너지 조달과 관련해서는 “에너지의 97%를 수입하고 있는 한국은 중앙집권식의 그리드 시스템이 아니라 분산 전원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마지막으로 “경제정책은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분할 것이냐가 핵심이고, 외부 변화에 대응하려면 자원을 새롭게 배분해야 한다”면서 “대한민국 경제도 변화에 맞게 자원배분이 빠르게 진행돼야 하며, 모든 것을 법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모든 경제주체들이 토의와 합의로 속도감 있게 돌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