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통일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170408676809.jpg)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많은 국제 사회가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한 노력에 동참할 수 있도록 '북한 인권 문제의 다자화·국제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전체회의 인사말씀에서 "북한 인권은 인류 보편 가치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와도 직결된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장에 젊은이들을 내몬 것은 귀중한 생명과 미래에 대한 유린이자 대한민국과 국제 사회의 안보를 위협하는 반인권적이고 반평화적인 폭거"라며 "정치 상황을 고려해 북한 인권 문제에 좌고우면하지 않고, 계획한 대로 차분히 정책 기조를 이어 가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통일 문제를 두고는 "한반도 모든 구성원이 자유와 풍요를 누리도록 하는 도덕적 의무로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통일에 대한 관점의 전환은 한반도 통일 문제가 국제적 보편성을 얻고, 정의와 공정을 중시하는 우리 젊은 세대에게 새로운 미래의 지평을 열어주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경험적·실증적 연구에 기반한 통일 정책의 수립과 추진이 필요하다"면서 "통일 정책의 현실성과 적실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데이터에 기반해 정책이 수립되고 추진돼야 한다"고 짚었다.
아울러 "통일 문제는 국제·국내·대북 차원의 접근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며 '삼위일체'를 이뤄야 한다"면서 "특히나 북한이 '적대적 두 국가 관계'를 주장하며 남북 관계의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국제 차원의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는 △통일 정책 △인권 인도 △정보 분석 △통일 협력 △남북 관계 관리 △통일 교육 6개 분과 총 92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통일부는 "오늘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는 분과별 회의와 상시적인 소통을 통해 자문 활동을 이어 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