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내달 개시되는 공매도 전산화 구축과 대체거래소 출범이 한국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20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열린 토론’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공매도 전산화 및 대체거래소 출범 등 인프라 개선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진행했다.
이 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공매도 전산화는 전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글로벌 민관협력 체계로 우리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그는 “대체거래소 출범으로 투자자의 선택이 큰 폭으로 확대되고 거래 편의성 또한 획기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자신했다.
이어 “이러한 제도들이 자본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면 글로벌 투자자들에 대한 우리 시장의 매력도가 제고될 것이 자명하다”면서도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인 만큼 시행 전까지 부족한 부분이 없는지 꼼꼼히 챙겨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금융당국은 공매도 전산화와 대체거래소 출범을 중심으로 증시 인프라 혁신과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감독역량을 집중하겠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지난해부터 금감원이 추진 중인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도 언급됐다.
이 원장은 “우리 증시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면서 “특히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법 개정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을 통해 ‘실효성’과 ‘균형’을 고려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시장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장구조 개편 논의도 조속히 시작할 필요가 있다”며 “우량기업이 정당한 가치를 평가받고 경쟁력이 낮은 기업은 자연스럽게 퇴출될 수 있는 시장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