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외국인을 포함한 총인구가 14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에서 탈출하고자 일본 정부가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개선될 기미 없이 인구절벽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 아사히신문의 15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전날 지난해 10월 1일 기준 총인구가 전년 대비 55만명 줄어든 1억2380만2000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14년 연속 일본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인구 감소 폭은 통계 비교가 가능한 1950년 이후 네 번째로 큰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47개 광역자치단체 중 도쿄도와 수도권인 사이타마현을 제외한 45개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했다.
총인구에서 외국인을 제외한 일본인 인구는 1억2029만6000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89만8000명 줄었다. 이는 역대 최대 폭의 일본인 인구 감소로, 출생자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가 심화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반면 외국인 증가세는 두드러졌다.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전년 대비 35만명 이상 증가한 350만6000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75세 이상 인구는 전년 대비 70만명 증가한 2077만7000명으로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7%였다. 또한 65세 이상 인구는 1만7000명 늘어난 3624만3000명으로,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역대 최고인 29.3%였다.
생산연령인구인 15~64세는 전년 대비 22만4000명 감소한 7372만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9.6%로 나타났다. 이 연령대 인구는 2018년부터 6년 연속으로 60%를 밑돌고 있다.
특히 14세 이하 인구는 34만3000명 줄어든 1383만명으로 집계됐는데, 총인구 가운데 11.2%밖에 차지하지 못하면서 역대 최저를 경신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 회견에서 일본이 처한 인구 감소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자녀를 낳고 기르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의 희망이 실현되지 않아 저출산에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희망하는 모든 사람이 자녀를 갖고 안심하고 양육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종합적인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아사히신문은 15일 “일본 내 인구 감소 주요 원인에는 저출산 가속화가 있다”며 “정부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아동수당의 소득제한을 없애고, 수당을 받을 수 있는 아동 나이도 중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확대했다. 또 맞벌이 부부의 육아휴직 수당도 실수령 급여액의 80%에서 전액으로 늘리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들이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면서 일본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