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자기자본 1조원이 넘는 증권사(2024년 3분기 기준) 중 정기공시를 하는 29개사를 집계해본 결과, 대표이사 38명 중 28.95%(11명)가 서울대 출신(학사 기준)이었다. 이어 고려대(18.42%, 7명), 연세대(10.53%, 4명) 순으로 파악됐다.
서울대 출신 대표이사는 김미섭(미래에셋증권), 장원재(메리츠증권), 박봉권·이석기(교보증권), 황성엽(신영증권), 고경모(유진투자증권), 남기천(우리투자증권), 정준호(SK증권), 임재택(한양증권), 황준호(다올투자증권), 최규원(리딩투자증권) 등이다.
이 중 임재택 전 한양증권 대표이사는 다올투자증권 대표이사로 내정됐으며, 28일 이사회를 통해 신임대표 자리에 오를 예정이다. 황준호 다올투자증권은 부회장으로 승진해 그룹 전반을 관리할 방침이다.
서강대를 나온 대표이사도 4명으로 10.53%를 차지했다. 이들 대표이사는 김종민(메리츠증권), 강성묵(하나증권), 전우종(SK증권), 김충호(리딩투자증권) 등이다. 이밖에 경북대, 경희대, 중앙대, 카이스트, 한국외대, 한양대 등 11곳 대학 출신 대표이사들이 1~2명씩 있다.
전공은 증권업 이해도가 비교적 높은 경영학·경제학 등이 과반을 차지했다. 경영학은 전통적으로 금융권에서 최고경영자(CEO), 최고재무자(CFO) 등 주요 보직에 많이 포진했다. 경제학의 경우 비슷하지만 투자전략 전문가가 많다.
증권사에서 드물게 법학(사법학, 공법학 포함)을 전공한 사례도 있다. 전공만 보면 리스크 관리에 탁월할 것 같지만 실적 개선, 신사업 추진 등 경영성과를 보이는 사례가 많다. 박봉권 교보증권 각자대표의 경우 기업금융(IB)과 자산관리(WM)를 맡고 있으며 흑자전환에 성공하는 등 수익성이 강화됐다. 또한 종합금융투자사 진입을 위한 절차도 진행 중이다.
어학계열 전공자인 대표이사도 2명 있다.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이사는 한국외대 중어중문학, 서정학 IBK 대표이사는 동국대 영문학을 전공했다. 윤 대표의 경우 전공을 살려 중국 전문가로 통한다. 특히 해외법인 경쟁력과 해외주식 사업을 강화하는 등 NH투자증권 체질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학력보다는 능력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증권사에도 확산되면서 대표이사 학력이 다양해진 모습”이라며 “최근 디지털 혁신을 키워드로 한 경영방침이 적극 반영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에는 절반 이상이 이공계 출신 대표이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대학이던 성균관(미군정때 향교재산으로 지원법률 제정되어 법제화된 성균관.성균관대).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서강대는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상위규범인 국제법,한국사, 헌법, 세계사,주권기준이라 변하지 않음. 이 뒤로 주권.자격.학벌없이, 성씨없는 일본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그뒤 서울대 미만 전국 각지역 대학들.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