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갤럽이 지난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에서 이 대표는 34%로 오차범위 밖에서 1위를 달렸다. 이어 김 장관 8%,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오세훈 서울시장·홍준표 대구시장 각각 3%,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2%,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1% 순이었다. 응답자 중 37%는 답하지 않았다.
이 대표가 2위권 주자들과 4배 이상 차이를 벌린 데에는 지난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의 무죄 선고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해석이다. 지난해 11월 1심 재판에서 징역 1년·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이 대표가 2심에서도 '피선거권 박탈'에 해당하는 징역형이 나올 경우, 당내에서 대권 가능성에 의문을 가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그간 국민의힘도 이 대표가 대권 후보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사법 공세를 이어왔으나 이번 판결로 대내외적 압박에서 벗어났다는 평가다. 이 대표 입장에선 조기 대선 본선행에 청신호가 들어온 셈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이 대표가 당선 무효형을 받았다면 상황이 복잡해졌을 것"이라며 "당 내부에서 비명(비이재명)계가 대선 후보 사퇴를 요구하면서 동시에 이 대표 범죄 혐의에 대한 여당의 총공세는 예정된 수순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박 평론가는 "이번 무죄 판결로 민주당은 이재명 중심의 정권 교체론이 단단하게 굳어졌다"며 "다른 변수를 찾아보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박 평론가는 "중도 확장성 등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홍준표 대구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맞붙을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대세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민주당 41%, 국민의힘 33%로 민주당이 오차범위 밖에서 여당을 앞섰다. 이어 조국혁신당·개혁신당이 각각 2%, 진보당 1% 순이었고,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1%였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인용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응답도 60%로 집계됐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34%였고, 7%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난주 조사 대비 찬성 2%포인트(p) 상승, 반대는 2%p 하락했다.
윤 대통령 탄핵이 현실화할 경우 열릴 조기 대선 결과를 묻는 질문에는 야당의 '정권 교체'를 원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34%,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53%로 나타났다. 13%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난 조사와 비교해 정권 유지 답변은 5%p 하락했고, 정권 교체 답변은 2%p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3%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